사학관계자 행사뒤 “사학법 저지”
시민단체등 “얄팍한 물타기”비판
전국 사립학교 관계자들이 27일 한자리에 모여 자정운동을 선언했다. 그러나 대신 국회에 계류 중인 사립학교법 개정안을 즉각 철회할 것을 요구해, 사립학교법 개정 움직임에 대한 ‘물타기’ 시도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전국 사학법인 이사장을 비롯해 사립학교 총·학장 및 교장, 교수·교사 등 6천여명은 이날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63빌딩 국제회의장에서 ‘사학 분야 투명사회 협약체결 및 다짐대회’를 열었다. 이들이 이날 밝힌 투명사회 협약문은 △법인 예·결산 전면 공개 △교원 공개 채용 △교원·학부모의 촌지 근절 및 건전한 학풍 지키기 △행정직원의 투명한 회계관리 등의 제도 개선 방안을 담고 있다. 이들은 다짐대회가 끝난 뒤 ‘열린우리당의 사립학교법개정안 직권상정 저지 결의대회’를 열어, “학교 경영의 투명성 확보는 사립학교의 자율에 맡겨야 한다”며 “학교 설립자의 사유재산권을 침해하는 방향으로 법 개정이 이뤄져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런 주장에 대해 ‘사립학교법 개정과 부패사학 척결을 위한 국민운동본부’ 등 교육·시민사회단체들은 “사립학교법 개정을 막아보겠다는 얄팍한 정치술수”라고 비난했다. 국민운동본부는 이날 성명서를 내 “사학법인들은 과거에도 사립학교법 개정에 대한 국민적 여론이 높아갈 때마다 거의 똑같은 내용의 자정결의대회를 열었다”며 “그러나 사학의 부정부패는 조금도 줄어들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한편, 박경양 참교육학부모회 회장과 이수일 전교조 위원장, 이성대 교수노조 교권실장, 금기송 전국대학노조 위원장, 이주희 민주노동당 학생위원회 위원장 등 교육 5주체 대표와 전교조 16개 시·도지부장들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민은행 앞에서 사립학교법개정안의 직권상정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밤샘 단식농성에 들어갔다. 이종규 기자 jklee@hani.co.kr
시민단체등 “얄팍한 물타기”비판
전국 사립학교 관계자들이 27일 한자리에 모여 자정운동을 선언했다. 그러나 대신 국회에 계류 중인 사립학교법 개정안을 즉각 철회할 것을 요구해, 사립학교법 개정 움직임에 대한 ‘물타기’ 시도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전국 사학법인 이사장을 비롯해 사립학교 총·학장 및 교장, 교수·교사 등 6천여명은 이날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63빌딩 국제회의장에서 ‘사학 분야 투명사회 협약체결 및 다짐대회’를 열었다. 이들이 이날 밝힌 투명사회 협약문은 △법인 예·결산 전면 공개 △교원 공개 채용 △교원·학부모의 촌지 근절 및 건전한 학풍 지키기 △행정직원의 투명한 회계관리 등의 제도 개선 방안을 담고 있다. 이들은 다짐대회가 끝난 뒤 ‘열린우리당의 사립학교법개정안 직권상정 저지 결의대회’를 열어, “학교 경영의 투명성 확보는 사립학교의 자율에 맡겨야 한다”며 “학교 설립자의 사유재산권을 침해하는 방향으로 법 개정이 이뤄져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런 주장에 대해 ‘사립학교법 개정과 부패사학 척결을 위한 국민운동본부’ 등 교육·시민사회단체들은 “사립학교법 개정을 막아보겠다는 얄팍한 정치술수”라고 비난했다. 국민운동본부는 이날 성명서를 내 “사학법인들은 과거에도 사립학교법 개정에 대한 국민적 여론이 높아갈 때마다 거의 똑같은 내용의 자정결의대회를 열었다”며 “그러나 사학의 부정부패는 조금도 줄어들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한편, 박경양 참교육학부모회 회장과 이수일 전교조 위원장, 이성대 교수노조 교권실장, 금기송 전국대학노조 위원장, 이주희 민주노동당 학생위원회 위원장 등 교육 5주체 대표와 전교조 16개 시·도지부장들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민은행 앞에서 사립학교법개정안의 직권상정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밤샘 단식농성에 들어갔다. 이종규 기자 jk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