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자꾸…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1일 오후 차명계좌를 통한 비자금 조성과 그룹 계열사에 대한 부당지원 의혹 등을 조사받으러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지방검찰청에 출석하고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1조3천억 부당지원·수백억 비자금 혐의 등 조사
실무자 등에 떠넘겨…그룹선 “절차상 하자일듯”
실무자 등에 떠넘겨…그룹선 “절차상 하자일듯”
한화그룹의 비자금 조성 의혹을 수사중인 서울서부지검 형사5부(부장 이원곤)는 김승연(58) 한화그룹 회장을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 위반(횡령·배임 등) 혐의로 1일 오후 소환해 조사했다. 김 회장은 이날 밤 11시께 돌아갔으며, 검찰은 김 회장을 한두 차례 더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
검찰은 한화그룹이 계열사들을 동원해 사실상 김 회장 일가가 소유한 업체에 1조3000여억원 규모의 부당지원을 한 혐의를 잡고, 김 회장을 상대로 이런 부당지원을 지시했는지 여부를 집중적으로 캐물었다.
한화그룹은 1990년대 후반 이후 100% 차명주주 회사인 부평판지와 한유통, 웰롭 등 3곳에 9000억원을 부당지원했으며, 2005년께 다시 현금과 부동산 등 3300억원을 추가로 부당지원한 것으로 검찰은 파악하고 있다. 검찰은 지원을 받은 회사들이 김 회장 일가가 차명으로 소유한 회사이고, 김 회장이 부당지원을 지시한 것으로 보고 김 회장에게 배임·횡령 혐의를 적용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검찰은 김 회장이 그룹 임원들을 통해 차명계좌 348개와 무기명 채권, 차명주주 회사 금고 등을 활용해 수백억원을 관리해 온 사실을 확인하고, 돈의 출처 등을 추궁했다. 검찰은 이 돈에 대해서도 조세포탈과 공정거래법 위반 등의 혐의를 적용하기로 했다.
이에 대해 김 회장은 “계열사 지원은 재무총괄 책임자 등이 알아서 한 일이며, (출처가 불분명한 자금은) 선대 재산인데 차명계좌로 관리되고 있는 줄 몰랐다”고 혐의를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화그룹도 이날 “배임 혐의를 사고 있는 9000억원은 중복계산된 것으로 실질적인 지원금액은 3000억원 수준”이라며 “과거 차명계좌 관리나 계열사의 지원과 관련해 절차상 하자가 있을 수 있지만 횡령이나 특정 개인을 위한 것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한편 검찰은 한화그룹 재무담당 최고책임자를 지낸 홍동옥 여천엔시시(NCC) 사장에 대해 횡령 및 배임 등 혐의로 이날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했다. 황춘화 기자 sflowe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