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초유 총리실 압수수색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 검사와 수사관들이 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중앙청사 창성동별관에 있는 공직윤리지원관실을 압수수색한 뒤 압수 물품이 담긴 상자들을 미니버스에 싣고 있다. 검찰이 국무총리실을 압수수색한 것은 처음이다. 연합뉴스
“이정환 전 이사장 사퇴압력 배후” 증언 잇따라
이정환 전 한국거래소 이사장이 지난해 10월 갑자기 중도 사퇴한 배경에도 선진국민연대 출신 청와대 행정관들의 압력이 있었다는 증언이 나왔다. 선진국민연대는 대선 때 이명박 후보 선거운동을 지원한 외곽조직으로, 총리실의 민간인 사찰, 케이비(KB)금융 인사 개입 의혹에도 휩싸여 있다.
9일 금융권 관계자들은 이정환 당시 이사장의 사퇴 종용에 앞장선 곳은 금융감독 당국이었으나, 이명박 정부 출범 직후부터 박영준 당시 청와대 기획조정비서관(현 국무총리실 국무차장) 아래 실무자들의 압박이 이어졌다는 취지의 발언을 내놓았다. 증권 유관기관의 전직 고위 임원은 “그 사람들(청와대 쪽 지칭)은 감독기관(금융위원회)을 통해서 압박을 했지, 직접 나서지는 않았다”며 사퇴 압력의 배후로 청와대 쪽을 지목했다. 그는 “이 이사장의 사퇴를 종용한 금융위원회나 금융감독원 쪽 사람들이 ‘하고 싶어서 하는 게 아니고, (위에서 시키니) 어쩔 수 없다’는 말을 자주 했다”며, 박영준 국무차장이 청와대 비서관으로 재임할 때 인사라인 담당으로 함께 일하던 이아무개, 또다른 이아무개, 윤아무개씨 등 3명의 행정관을 압력 행사의 당사자들로 구체적으로 거명했다. 이들 세 행정관은 모두 선진연대 또는 경북 포항 출신으로 박영준 차장과 깊숙이 얽혀 있다.
이 전 이사장의 사퇴 전말을 소상히 파악하고 있는 금융권의 다른 관계자는 “(청와대 고위직을 지낸) ㅇ씨, 금융감독기관의 고위직 ㅈ씨, ㄱ씨도 (선진연대를 중심으로 한 청와대 쪽의) ‘하수인’에 불과했다”고 말했다. 한국거래소 출신의 한 인사는 “이명박 정부 출범 초기에 대통령 측근인 이아무개씨를 거래소 이사장으로 내려보내려고 했는데 일이 어긋나 당시 포항 출신의 청와대 행정관 ㅇ씨가 무척 힘들어한 일도 있다”고 전했다.
이 전 이사장은 지난해 10월16일 직원들한테 보낸 ‘퇴임의 변’이라는 제목의 전자우편에서 “직간접적 사퇴 압력을 많이 받았다”고 전격 폭로한 바 있다. 그의 사퇴 뒤 빈자리는 키움증권 부회장 출신의 김봉수씨가 넘겨받았다. 김 이사장은 윤진식 당시 청와대 정책실장 겸 경제수석의 고등학교(청주고) 후배이며 같은 대학(고려대) 출신이다.
김영배 이재성 기자 kimyb@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