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감한 안보문제까지 감시
참여연대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에 천안함 조사 결과에 대한 의견 서한을 전달한 것을 두고 국내 보수세력의 비난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그렇다면 다른 국외 엔지오(NGO·비정부기구)의 활동은 어떨까.
인권보호단체인 국제앰네스티의 누리집을 보면, 앰네스티는 2004년부터 유엔 안보리에 꾸준히 서한을 보내 자신들의 의견을 밝혀왔다. 2004년 6월 이라크 문제와 관련한 의견을 담은 서한을 안보리에 공개적으로 보냈고, 2009년 5월에는 가자지구와 남부 이스라엘에서의 분쟁에 대한 의견을 안보리 의장에게 서한으로 제출했다.
또다른 인권단체인 휴먼라이츠워치는 2004년 이후 정기적으로 유엔 안보리에 서한을 보냈다. 2004년 7월 다르푸르 상황과 관련된 유엔 결의안 초안에 대한 의견을 시작으로 모두 17건의 공개 서한을 유엔 안보리 이사국에 보냈다. 유엔 안보리에 서한을 보내는 것은 엔지오의 통상적인 일인 셈이다.
미국 정부가 ‘테러와의 전쟁’을 벌이는 동안 미국의 엔지오들이 한 활동도 국내에서 벌어지고 있는 ‘국익 훼손’ 논란과 관련해 참고할 만하다. 미국 엔지오인 헌법권리센터는 “미 정부가 2001년 11월 대통령령에 따라 이라크에서 붙잡은 포로들을 법적 절차 없이 미군 군사수용시설에 무기한 구금한 것은 미국 헌법과 국제법에 위반한다”고 소송을 제기해, 결국 국방부가 ‘전투원 신분에 관한 재심위원회’를 만드는 데 큰 몫을 했다.
미국시민자유연맹은 2004년 6월 소송을 통해 아부그라이부 감옥에서 진행된 고문과 관련된 메모를 받아내기도 했다. 민감한 안보와 관련된 자국의 활동에 대해서도 엔지오의 다각적인 감시활동이 이뤄지는 셈이다. 황춘화 기자 sflowe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