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륙 중심 충주서 ‘양성’ 판정
정부, 사실상 ‘심각’단계 경보
반경 3km내 일반인 출입통제
정부, 사실상 ‘심각’단계 경보
반경 3km내 일반인 출입통제
중서부 해안 지역에 머물러 있던 구제역이 발생 15일 만에 내륙 한가운데인 충북 충주까지 확산됐다. 정부는 전국으로 구제역이 확산될 가능성을 우려해, 가장 높은 위기경보인 ‘심각’ 단계에 해당하는 비상관리체제에 들어갔다. 이날까지 매몰처분 대상이 된 가축만도 모두 4만2793마리에 이른다.
농림수산식품부는 22일 충북 충주시 신니면 용원리 돼지농가에서 접수된 구제역 의심신고가 8번째 양성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강화에서 신고된 2건 중 양사면 교산리 한우농장이 7번째 양성 판정을 받았으며, 다른 1건은 구제역이 아닌 것으로 판명됐다.
충주 구제역 확산 경로와 관련해, 농식품부는 사람을 통해 바이러스가 전파됐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충주 돼지농가에 돼지 정액을 공급한 회사 관계자가 3월 말 강화 지역으로 가축을 수송했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집중적인 역학조사를 벌이고 있다.
농식품부는 충주 신니면이 강화·김포의 방역권에서 100㎞ 이상 벗어난 내륙 지역이고 소보다 바이러스 전파력이 3000배나 높은 돼지농가에서 발생했다는 점을 크게 경계하고 있다. 하영제 농식품부 제2차관은 “충주에서 구제역이 발생했다는 것은 전국 확산을 우려해야 한다는 뜻”이라며 “충주 돼지농가 반경 3㎞ 이내 소와 돼지 1만2620마리에 대해 곧바로 매몰처분에 들어갔다”고 말했다.
농식품부는 구제역 위기경보를 중간 단계인 ‘경계’로 유지하되, 가장 높은 ‘심각’ 단계에 해당하는 대응태세로 사실상 들어갔다고 밝혔다. 제2차관이 맡아오던 구제역대책본부를 이날부터 장태평 장관이 직접 맡아 진두지휘하고 있으며, 전국의 모든 시·도에 대해 단체장이 본부장을 맡는 방역대책본부를 설치하라고 지시했다. 또 정부는 정운찬 국무총리 주재로 긴급 관계부처 장관회의를 소집하고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과 장태평 농식품부 장관이 축산농가와 일반 국민에 대해 구제역 방역 협조를 당부하는 공동 담화문을 발표했다.
한편, 이웃 나라인 중국에서는 지난해 초 이후 지금까지 국토 전역에 걸쳐 A형과 O형 및 아시아1형의 각종 구제역 40건이 발생했으며, 청정지역으로 알려진 일본에서도 최근 3건의 양성 판정이 확인되는 등 베트남을 포함한 동아시아 전역이 구제역 벨트로 주목받고 있다. 김현대 선임기자koala5@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