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률 전 국세청장
“부산청서 태광실업 조사 되겠나…서울청 조사4국에 맡겨” 세무조사 지시 시인
25일(현지시각) 미국 뉴욕에 체류중인 한상률(사진) 전 국세청장이 국내 언론사 특파원들에게 밝힌 내용은 그간 자신을 둘러싸고 제기됐던 각종 의혹들을 조목조목 반박하는 것이다. 한 전 청장은 우선 안원구 국장 쪽에서 제기한 ‘3억 로비설’에 대해 “2007년11월 국세청장이 됐을 당시부터 3개월 정도밖에 할 수 없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유임이 무슨 로비한다고 이뤄지는 게 아니다”라며 로비설을 부인했다. 그러면서 “속상하고 어이없다”고 억울함을 호소했다. 앞서 지난 22일 안 국장의 부인 홍혜경씨는 “한 전 청장이 현 정권 실세에게 (유임을 위해) 10억원을 건네야 한다며 남편에게 그 가운데 3억원을 요구했다”고 밝힌 바 있다. 한 전 청장은 이른바 ‘박연차 게이트’의 발단이 된 지난해 7월 태광실업 세무조사를 둘러싼 의혹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설명했다. 우선 태광실업 세무조사를 서울청 조사4국에 맡긴 배경에 대해 “부산청에서 조사하면 조사가 되겠나. 당시 교차조사는 자동이다”라며, 노무현 전 대통령 후원기업을 겨냥한 표적수사 의도가 없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서울청 조사4국은 국세청장 하명에 따른 특별 세무조사를 전담하는 조직이어서, 이날 발언은 자신이 청장 재임 때 태광실업 세무조사를 지시한 것을 시인한 셈이 된다. 태광실업 세무조사 진행 상황을 청와대에 들고 가 안 국장과 함께 보고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한 전 청장은 “청와대 보고하는 것을 누가 있는 옆에서 보고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며 맞받았다. 다만 한 전 청장은 “(태광실업 베트남 현지법인 조사와 관련해) 안 국장에게 베트남 정부에 조사 협조를 요청하도록 지시한 것은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한 전 청장은 또 “객원연구원 자격을 유지하기 위한 J1비자로 왔기 때문에 출국하면 2년 내로는 다시 들어올 수 없다”면서 조기 귀국 의사가 없음을 내비쳤다. 최우성 기자, 워싱턴/권태호 특파원 morgen@hani.co.kr, 사진 올버니/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