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1년 수백만원
전남도는 지원비 0원
전남도는 지원비 0원
서민들한테는 통신요금도 만만치 않은 부담이다. 세계 최고 수준의 휴대전화 값과 전화요금은 가계부를 직접 압박한다. 하지만 이런 실정에 아랑곳 않고 일부 지방자치단체장에게 통신 지원비가 방만하게 집행되고 있어 눈총을 사고 있다.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소장 하승수)가 2일 전국 16개 광역 지방자치단체에 요구해 받은 ‘단체장 휴대전화 구입비와 통신비 지원 명세’를 보면, 일부 단체장들은 세금으로 휴대전화를 3년 사이 세번이나 바꾸거나 통신비로 1년에 수백만원씩 지출했다. 반면 전혀 지원금을 지급받지 않은 단체장도 있었다.
충청남도는 도지사 몫의 휴대전화로 2006년 6월 최신형 듀얼 슬라이드폰을 38만원에 샀다. 이듬해 6월에는 75만원을 들여 이를 애니콜 슬림 위성 디엠비(DMB)폰으로 바꿨으며, 지난해 8월에는 67만원에 스타일폰으로 교체했다. 충남도청 관계자는 “지사님과 관련된 용무로 보통 수행비서가 휴대전화를 쓰게 되는데 복잡한 지시 등으로 통화가 길어지다 보면 요금도 많이 나오고 교체 시기도 일찍 오게 된다”고 말했다. 이 밖에 다수의 지자체장들이 60만~70만원대의 신형 휴대전화를 지원받아 사용하고 있다.
통신비 명목으로 엄청난 요금이 지급된 곳도 있다. 광주광역시는 시장 몫의 휴대전화 요금으로 올 들어 8월까지 580여만원(월평균 72만여원)을 지급했다. 지난해에는 800여만원이 들어갔다. 제주와 경북, 충남도 2006~08년에 해마다 200만원이 넘는 요금이 지급됐으며, 올해에도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전라남도는 휴대전화 구입 비용과 전화요금 명목의 지원금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원도는 시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약정제도를 이용해 구입 비용을 들이지 않고 기관장 휴대전화를 장만했다.
정진임 정보공개센터 간사는 “지자체들이 ‘공적 목적의 통화’에 통신비를 지원하고 있지만 공적 용도와 사적 용도의 구분이 쉽지 않다”며 “최소한 매년 신형 휴대전화로 바꾸는 관행이라도 먼저 개선하는 등 세금을 아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권오성 기자 sage5t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