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미·중·일 등 11개국 사절 참석…42개국 조전

등록 2009-08-23 19:22수정 2009-08-24 00:37

매들린 올브라이트 전 미국 국무장관(앞줄 맨 오른쪽), 고노 요헤이 전 일본 중의원 의장(왼쪽 셋째), 탕자쉬안 전 중국 국무위원(고노 전 의장 뒤) 등 세계 각국의 조문사절단이 23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김대중 전 대통령 국장 영결식에서 헌화·분향을 마친 뒤 자리로 돌아가고 있다. 김진수 기자 <A href="mailto:jsk@hani.co.kr">jsk@hani.co.kr</A>
매들린 올브라이트 전 미국 국무장관(앞줄 맨 오른쪽), 고노 요헤이 전 일본 중의원 의장(왼쪽 셋째), 탕자쉬안 전 중국 국무위원(고노 전 의장 뒤) 등 세계 각국의 조문사절단이 23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김대중 전 대통령 국장 영결식에서 헌화·분향을 마친 뒤 자리로 돌아가고 있다.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김대중 전 대통령 국장] 세계 각국 조문 물결
러·영·캐·오스트레일리아쪽도 분향
미 셀던 교수, 영정에 큰절 올려 ‘눈길’
23일 국회에서 엄수된 김대중 전 대통령 국장 영결식엔 각국의 조문사절단들도 참석해 애도를 표했다.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11개국 사절단이 참석했고, 42개 국가의 정상이나 외교장관이 조전을 보내왔다.

매들린 올브라이트 전 미국 국무장관과 전직 주한 미국대사들로 꾸려진 10명의 미국 조문사절단은 영결식에 나란히 참석해 헌화하고 분향했다. 빌 클린턴 정부 때인 2000년 10월 북한을 방문한 뒤 김 전 대통령을 예방한 적이 있는 올브라이트 전 국무장관은 헌화를 한 뒤 두 손을 모아 유족들에게 조의를 표했다. 1973년 김 전 대통령이 도쿄에서 납치됐을 당시 미국 중앙정보국 한국지부장으로 있으면서 구명에 앞장섰던 도널드 그레그 전 대사도 영정 앞에 머리를 숙였다. 그는 80년 김 전 대통령이 사형선고를 받았을 때도 한국에 파견돼 신군부를 상대로 구명활동을 펼쳤던 인물이다. 94년 1차 북핵 위기 때 김 전 대통령이 제안한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의 방북을 실질적으로 성사시키는 데 큰 몫을 했던 제임스 레이니 전 대사도 헌화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이틀째인 19일 서울 광장 분향소에서 미국 코넬대학교 마크 셀던 교수가 일본의 양심적 지식인인 와다 하루키 교수와 함께 DJ 영전 앞에서 조의를 표하면서 무릎을 꿇고 두 손을 땅바닥에 댄 뒤 머리를 숙여 큰절을 올린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연합뉴스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이틀째인 19일 서울 광장 분향소에서 미국 코넬대학교 마크 셀던 교수가 일본의 양심적 지식인인 와다 하루키 교수와 함께 DJ 영전 앞에서 조의를 표하면서 무릎을 꿇고 두 손을 땅바닥에 댄 뒤 머리를 숙여 큰절을 올린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연합뉴스
중국에선 탕자쉬안 전 국무위원을 비롯한 현직 외교부 고위관료 11명이 사절단으로 영결식에 참석했다. 탕 전 국무위원은 김 전 대통령 재임 때인 98년부터 2003년까지 외교부 부장을 지냈다. 그는 2004년 장쩌민 중앙군사위원회 주석과 김 전 대통령의 회담을 주선하기도 했다. 청융화 주한 대사, 후정웨 외교부 부장조리 등도 분향했다.

일본에선 고노 요헤이 전 중의원 의장과 시마다 준지 외무성 동북아과장 등이 영결식에 참석했다. 특히 김 전 대통령의 도쿄 피랍 당시 적극적인 구명운동을 벌였던 고노 전 의장은 “정치적으로 배울 점이 많은 분이었고, 다시 한번 연설을 듣고 싶었는데 그렇게 할 수 없어 안타깝다”고 말했다.

러시아에선 글레프 이바셴초프 주한 대사가 영결식에 참석했다. 영국은 앤드루 아도니스 교통부 장관, 캐나다는 배리 데블린 한-캐나다 의원친선협회 공동회장, 오스트레일리아는 앤서니 번 통상담당 정무차관이 사절로 왔다.

김 전 대통령 납치사건 당시 적극적인 구명운동을 폈던 일본의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와 마크 셀던 미국 코넬대 교수도 영결식에 참석했다. 장의위원이기도 한 와다 교수는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안장식에도 끝까지 참석했고, 셀던 교수는 서양인으로선 드물게 영정에 큰절을 해 눈길을 끌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체감 영하 18도에도 ‘광화문 키세스’ 외침…“윤석열을 파면하라” 1.

체감 영하 18도에도 ‘광화문 키세스’ 외침…“윤석열을 파면하라”

법원 폭동날 경찰 뇌진탕, 자동차에 발 깔려 골절…56명 부상 2.

법원 폭동날 경찰 뇌진탕, 자동차에 발 깔려 골절…56명 부상

[단독] 명태균 측근 “명, 아크로비스타에 여론조사 결과 직접 가져가” 3.

[단독] 명태균 측근 “명, 아크로비스타에 여론조사 결과 직접 가져가”

[단독] 헌재 직권증인 “이진우, 공포탄 준비시켜…‘의원 끌어내’ 지시” 4.

[단독] 헌재 직권증인 “이진우, 공포탄 준비시켜…‘의원 끌어내’ 지시”

‘내란 가담 의혹’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발령 5.

‘내란 가담 의혹’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발령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