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리그 해리슨. 미국 국제정책센터 선임연구원(왼쪽), 돈 오버도퍼. 존스홉킨스대학 교수
전직 외신특파원들의 회고
“누구에나 친절·정직…늘 희망 얘기
평생 통일 추구, 민주주의 확신 가져”
“누구에나 친절·정직…늘 희망 얘기
평생 통일 추구, 민주주의 확신 가져”
미국의 대표적인 한반도 문제 전문가인 셀리그 해리슨(82) 미국 국제정책센터 선임연구원과 돈 오버도퍼(78) 존스홉킨스대학 교수는 1960~70년대 <워싱턴 포스트>의 도쿄 특파원이었다. 해리슨은 68~72년, 그리고 오버도퍼는 72~75년에 도쿄에 머물며 수시로 서울을 찾았다. 이들이 기억하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40년 전 모습은 지금과 다르지 않다. 18일(현지시각) <한겨레>와 한 전화 인터뷰에서 두 전직 특파원들은 김 전 대통령의 서거에 대해 “너무 가슴이 아프다”며 말을 시작했다. 해리슨이 김 전 대통령을 처음 만난 때는 68년이었다. “당시 그는 한 국회의원일 뿐이었지만, 군사정권과의 싸움을 막 시작했다. <워싱턴 포스트>는 젊은 야당 정치인이었던 김영삼·김대중에게 주목했다. 김 전 대통령은 그때부터 ‘통일’을 얘기했다. 놀라운 건 그때 얘기했던 통일의 방식과 2000년 6월 남북 정상회담에서의 내용이 별반 다르지 않다는 점이다. 좀더 정교해졌을 뿐이다”라고 해리슨 선임연구원은 말했다. 그는 김 전 대통령의 정치적 역할에 대해 “첫째, 박정희-전두환 군사정권을 꺾어 한국의 민주화에 큰 공헌을 했다. 더 중요한 건 남북관계의 새 길을 열었다는 점이다. 많은 정치인들이 통일을 얘기했다. 그러나 김 전 대통령은 평생에 걸쳐 끝까지 추구했다는 점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정진석 추기경 등 종교계 인사들이 19일 오후 김대중 전 대통령의 임시 빈소가 마련된 서울 신촌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으로 각각 들어서고 있다. 김경호 기자 jijae@hani.co.kr
조계종 총무원장 등 종교계 인사들이 19일 오후 김대중 전 대통령의 임시 빈소가 마련된 서울 신촌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으로 각각 들어서고 있다. 김경호 기자 jijae@hani.co.kr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이틀째인 19일 서울 신촌 세브란스 병원 장례식장 빈소에 노르베르트 바스 주한 독일대사가 조문을 위해 도착하고 있다. 연합뉴스
햇볕정책에 대해 그는 “김 전 대통령의 이상은 남과 북의 공존이다. 현재 북-미 관계의 바람직한 모습이 제재냐 화해냐 하는 건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나는 그의 햇볕정책이 지금도 여전히 가장 유효한 정책이라고 믿는다. 한반도의 긴장완화가 평화를 가져온다. 이는 단순하지만 위대한 개념이다. 북한을 설득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건 결코 쉽지 않다. 그럼에도 해야 한다. 나는 햇볕정책 이외의 더 나은 방법이 있는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워싱턴/권태호 특파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