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총 1억98만톤CO₂…17년전보다 2.4배 늘어
우리나라 교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이 1억톤을 넘었다. 교통수단 가운데 도로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가장 많았고, 서울 등 수도권에서 절반가량이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해양부는 3일 ‘2007년도 교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의 지역별·교통수단별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교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이 1억98만tCO₂(CO₂환산톤: 각종 온실가스를 이산화탄소 기준으로 환산한 톤 단위, 이하 톤)를 기록해 처음으로 1억톤을 넘었다고 밝혔다.
이는 1990년 배출량인 4292만톤과 견줘 2.4배로 늘어난 수치다. 온실가스 배출량은 1990~2000년까지 연 평균 7.5%씩 증가했으며, 그 뒤 매년 2%대의 증가율을 보였다.
수송수단별 배출량을 살펴보면, 도로가 7848만톤(77.7%)으로 가장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해운 1286만톤(12.7%), 항공 897만톤(8.9%), 철도 67만톤(0.7%) 등의 순서였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1998만톤(19.8%), 인천 1261만톤(12.5%), 서울 1249만톤(12.4%)으로 수도권이 전국 배출량의 44.7%를 차지했다. 이어 △부산 844만톤(8.4%) △경남 627만톤(6.2%) △울산 616만톤(6.1%) 등의 차례였다.
2005년 우리나라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연평균 9.30톤으로 일본(9.50톤), 독일(9.86톤)과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연 평균 증가율은 0.28%로 영국(-0.20%), 독일(-0.56%)보다 높았다. 국토부는 “우리나라가 2013년부터 온실가스 의무감축 대상국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대중교통 활성화와 녹색교통망 구축 등 국가 차원의 온실가스 감축 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황춘화 기자 sflowe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