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철거민 참사’에 대한 정확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는 시민사회단체와 야당의 공동 대응이 본격화하고 있다.
400여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민생민주 국민회의와 민주당·민주노동당·창조한국당·진보신당 등 네 야당은 29일 서울 연지동 기독교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용산 철거민 강제진압 규탄과 임시국회 쟁점법안 강행처리 저지를 위한 공동행동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생존권의 위협을 느낀 서민들이 농성에 나서도록 내몰고도 철거민들에게만 누명을 씌우려 하는 정부와 여당이 사태의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정부와 여당은 막개발이 용산의 비극을 초래한 것을 알면서도 2월 임시국회에서 부동산 투기 규제를 완전히 철폐하겠다고 벼르고 있다”며 “금산분리 완화, 비정규직 확대, 언론악법 등 서민들을 위태롭게 하는 법안 통과를 저지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각 당 대표를 비롯해 시민단체 대표들과 사회원로들이 참석했다.
시민단체와 야권은 원외집회로 대정부 압박 수위도 높이기로 했다. 이들은 다음달 1일 오후 서울 청계광장에서 ‘악법 저지를 위한 국민대회’를 대대적으로 연다고 밝혔다. 오는 31일 같은 자리에서 ‘용산 철거민 살인진압 범국민대책위원회’ 주최로 열리는 촛불문화제에 대한 시민들의 참여도 호소했다.
전국철거민협의회(전철협)도 이날 서울 청운동사무소 앞을 비롯해 전국 8곳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는 강제진압 책임자들을 처벌하고, 철거민을 거리로 내모는 개발정책을 즉각 폐기하라”고 요구했다. 전철협은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전국 각지의 공공기관 앞 등 100여곳에서 1인시위를 벌이기로 했다.
전북 전주에서는 전북진보연대 등 46개 시민사회단체가 ‘용산 철거민 살인진압 전북대책위원회’ 발족 기자회견을 열고 “용산 참사의 은폐·왜곡을 중단하고 책임자를 처벌하라”고 촉구했다. 이날 저녁 참사 현장에서는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촛불문화제가 열흘째 이어졌다.
권오성 기자 sage5t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