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상조사단, 검찰발표 반박
“컨테이너가 망루 민 것도 은폐”
“컨테이너가 망루 민 것도 은폐”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등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용산 철거민 사망사건 진상조사단’은 22일 검찰 수사 발표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용역직원들의 불법행위에 대한 수사 등을 요구했다.
조사단은 이날 용산 사고현장 앞에서 ‘1차 조사결과’를 발표해 “수사당국의 수사가 객관성과 구체성을 결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우선 철거민 6명에 대한 검찰의 구속영장 청구에 대해 “농성자들이 불을 지르지 않았다고 일관되게 주장하고 있음에도 수사기관은 경찰특공대의 증언 등에만 의지해 구속영장을 청구한 것은 매우 우려스럽다”고 밝혔다. 핵심쟁점인 발화 원인과 관련해 조사단은 “객관적 증거가 상당히 중요한데도, 수사기관은 화염병에 의해서 발화가 되었다는 객관적인 증거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조사단은 또 ‘용역 직원들의 불법행위’에 대한 수사가 없는 점을 꼬집었다. 조사단은“19일 용역들이 건물 3층에서 폐타이어를 태우거나 경찰 방패를 들고 서있는 것이 목격됐다”며 “일반 시민의 피해를 지키기 위해 출동한 경찰이 현장을 위험에 빠뜨리고 농성자들을 자극하는 용역 직원들을 방치한 이유에 대해 적극 해명해야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찰특공대의 ‘컨테이너 작전’과 관련해서는“동영상 자료나 농성자들의 진술로 미뤄보면 경찰 특공대가 탄 컨테이너 박스가 망루를 민 것이 확실한데도 수사기관은 그런 사실이 없다고 일축하고있다”며 “이 점에 대해 당국은 확실히 해명해야 할 것”이라고 요구했다.
이날 사고 현장에는 당국의 수사를 비난하고,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시민단체의 기자회견이 봇물을 이뤘다. 참여연대는 “삶의 터전에서 쫓겨나면서 갈 곳을 묻는 당신에게 국가가 폭력으로 대답하는 세상을 살게 되었다”는 추도문을 고인들에게 바쳤다. 미디어행동은 “경찰이 사건 발생 3일째인 오늘까지 유족은 물론 기자의 사건 현장 출입을 통제하고 있고 주검을 수습하는 과정 역시 비밀리에 진행했다”며 경찰을 비판했다.
한편, 희생자 6구의 주검을 부검한 국립과학수사연구소의 서중석 법의학부 부장은 이날 “부검 결과 주검 6구의 사인은 모두 ‘화재사’였다”며 “숨지기 전 구타 등을 당한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권오성 기자 sage5t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