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권익위원회 여론조사
국내 거주 외국인의 절반 가량이 ‘한국 공무원은 부패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외국인의 58%는 한국 사회의 부패 문제가 기업활동을 심각하게 저해하는 요소라고 지적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5일 여론조사기관인 리서치 플러스에 의뢰해 외국공관과 주한 상공회의소, 외국인 투자기업체에 근무하는 국내 거주 외국인 200명에게 부패인식도 조사(신뢰수준 95%, 표본오차 ± 6.93% 포인트)를 한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달 10월 초부터 대인면접과 전자우편 등을 통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한국 공무원의 부패 수준이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느냐’는 질의에 대해 50.5%가 ‘부패하다’고 답했다. ‘부패하지 않다’고 답한 비율은 17.5%에 그쳤다. 한국 기업의 윤리경영 수준을 묻는 물음에는 ‘낮다’는 응답(40.5%)이 ‘높다’(19%)는 응답보다 2배 넘게 많았다.
또 ‘한국 기업이 부패하다는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중요한 과제’에 대해서는 ‘재벌의 정경유착 근절’(25%)이 가장 높았고, 이어 ‘대기업-중소기업간 공정경쟁’(20.5%), ‘회계투명성 제고’(20.5%), ‘재벌의 지배구조 개선’(20%) 등의 차례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외국인 응답자의 5.5%는 지난 1년 동안 한국 공무원에게 업무관계로 금품이나 향응을 제공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최익림 기자 choi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