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 6천억 낭비 우려 지적
제2차 수도권 광역철도 사업이 설계 부실로 말미암아 승객안전에 큰 위협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원은 2007년 4월부터 2달 동안 광역철도 건설사업 추진실태를 감사한 결과, 이런 사실을 밝혀내고 설계변경 등 대책안을 마련할 것을 한국철도시설공단 이사장에게 통보했다고 28일 밝혔다.
감사 결과를 보면, 수인선(수원~인천) 등 4개 노선은 터널 안 대피로의 폭이 기준치(70㎝ 이상)보다 좁은 40~50㎝에 불과해 화재 발생 때 승객 대피에 큰 지장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분당선 연장(왕십리∼선릉) 구간의 청담·강남구청·삼성 등 3개 정거장의 경우 승강장 높이 및 선로 중심~승강장 거리가 철도건설 규칙에 맞지 않아 승객이 승강장에 걸려 넘어지거나 차량과 승강장 연단 사이에 발이 끼이는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큰 것으로 드러났다.
중앙선(청량리~덕소) 등 5개 구간의 광전선로와 경춘선 배전선로는 이중화 설계가 이뤄지지 않아 광케이블 절단에 따른 통신두절이나 정전 사고가 빚어질 경우 열차 운행에 심각한 지장을 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지적됐다.
또 교통수요나 타당성 분석 없이 정거장 규모를 지나치게 크게 설계하는 바람에 모두 6천여억원의 예산이 낭비될 우려가 있다고 감사원은 밝혔다.
감사원은 이번 조사에서 한국철도시설공단이 사업비를 부풀려 과다계상한 부가가치세 460억원을 옛 기획예산처와 협의없이 공단홍보용 간판 설치비나 국외여비 등으로 사용했으며, 사업비 34억원도 직원들의 단체 영화관람과 회식비 등으로 쓴 것으로 드러났다고 덧붙였다.
최익림 기자 choi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