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장 계열분리 의혹이 제기된 중앙일보사 사옥 뒤로 삼성 본관(가운데)과 태평로빌딩(맨 왼쪽) 등이 늘어서 있다.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보도태도 되짚어보니
김변호사 ‘행실’ 문제삼으며 ‘삼성’ 대변 목소리도
그동안 <중앙일보>의 삼성그룹 관련 보도는 다른 언론의 그것과는 뚜렷이 다른 편이었다. 안기부 엑스파일 등 삼성한테 부정적인 뉴스는 무시하거나 거의 다루지 않았다. 대신 삼성의 입장을 대변하는 소재는 중앙이 앞장서 보도했다.
이번 김용철 전 삼성그룹 전략기획실 법무팀장의 ‘삼성 비자금 의혹’과 관련한 보도에서도 <중앙>은 ‘침묵’과 ‘축소 보도’, 또는 삼성의 해명을 대변하는 보도를 집중적으로 했다.
김용철 변호사가 처음으로 양심선언을 한 것을 <한겨레>는 10월30일치 1면 머릿기사를 포함해 주요 지면에서 13건의 기사를 다뤘다. 하지만 중앙은 같은 날 사회면(10면)에 ‘내 계좌에 비자금 50억 있었다’라는 제목의 2단 기사만을 내보냈다. 그나마 다음날부터 사흘 동안은 아예 기사가 사라졌다. 김 변호사의 최초 폭로는 첫날 다른 언론도 크게 다루진 않았으나, 중앙의 축소 보도는 그 가운데서도 가장 눈에 띄었다.
중앙이 다시 이 의제를 들고 나온 것은 참여연대와 민변이 삼성을 고발한 것을 계기로 11월7일치에 7건을 다루면서이다. 그러나 중앙의 보도는 비자금 의혹을 전달하거나 규명하는 내용과는 거리가 멀었다. 대신 ‘명단 없으면 수사 공정성 담보 못해’라는 대검 홍보기획관의 말을 빌리거나 ‘세 군데 직장 옮긴 김용철 변호사 …’라는 제목으로 김 변호사 ‘행실’의 문제점을 짚으며 삼성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논조가 주를 이뤘다.
중앙은 다시 14일치에 ‘검찰 떡값 의혹, 증거 공개가 먼저다’라는 사설 등을 통해 “구체적 증거 제시 없이 의혹만 제기되고 있는 상태에서 특검부터 논한다는 사실 자체는 순서가 뒤바뀐 것”이라고 주장하며 특검 반대 목소리를 높였다.
이용철 전 청와대 법무비서관이 삼성의 로비 행태를 폭로하자, 대부분의 신문들은 이 폭로가 김용철 변호사의 발언을 뒷받침한다는 점에서 1면을 비롯한 주요 지면에 비중 있게 다뤘다. 반면, 중앙은 이 사실을 다시 사회면 안쪽으로 밀어넣는 데 그쳤다. 게다가 중앙의 관련 보도는 폭로의 내용보다 이 변호사가 회견장에 참석하지 않은 점, 3년10개월 만에 폭로한 이유 등 폭로의 진정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 주내용이었다. 또 ‘회사 차원에서 돈 건넨 사실 없다’라는 제목의 삼성 반박 기사를 4단으로 실음으로써 노골적으로 삼성 편을 들었다.이어 중앙은 16일치에 삼성 쪽에서 흘린 것으로 알려진 ‘김용철 변호사 부부 노래방 불법 영업’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다뤘다.
언론개혁시민연대는 26일 중앙의 위장계열 분리 논란과 관련한 논평을 내어 “중앙일보는 겉으로 독립언론, 정론지를 표방했지만 실제로는 삼성과 이건희 일가의 이익과 안위를 위해 철저히 복무하는 홍보 판촉물에 지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문현숙 기자 hyunsm@hani.co.kr
언론개혁시민연대는 26일 중앙의 위장계열 분리 논란과 관련한 논평을 내어 “중앙일보는 겉으로 독립언론, 정론지를 표방했지만 실제로는 삼성과 이건희 일가의 이익과 안위를 위해 철저히 복무하는 홍보 판촉물에 지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문현숙 기자 hyuns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