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한겨레 여론조사] “대입 내신비율 높여야” 찬성 37%

등록 2007-07-09 01:31

고교 내신성적 반영비율 어떻게? 한겨레 7월 여론조사
고교 내신성적 반영비율 어떻게? 한겨레 7월 여론조사
“현 수준 적당” 32%-“낮춰야” 21%
대학 입시에서 고교 내신(학교생활기록부 교과성적) 반영 비율을 높이라는 교육부의 요구에 대해 주요 대학들이 난색을 표시하고 있는 가운데 일반 국민들은 반영비율을 지금보다 낮추기보다 높여야 한다는 의견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내신 반영 비중을 둘러싼 최근의 갈등에 대해 교육인적자원부에 책임이 있다는 견해가 가장 많았다.

〈한겨레〉와 ‘리서치플러스’의 여론 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까지 10% 이내에 머물던 내신의 실질반영 비율을 현행보다 더 높여야 한다는 응답은 37.0%, 적당하다는 의견은 32.3%로 나타났다. 반면 더 낮춰야 한다는 답변은 21.2%에 그쳤다.

내신 실질반영 비율을 올리는 데 찬성하는 비율은 중소도시(40.1%)가 대도시(35.1%)나 군·읍·면(34.5%)보다 조금 더 높았다. 직업별로는 내신 비율을 올려야 한다는 의견은 화이트칼라(49.1%)에서 가장 많았으며, 학생(44.9%) 블루칼라(37.5%) 자영업(36.1%) 차례였다.

기회균등 할당제 도입을 어떻게 보나? 한겨레 7월 여론조사
기회균등 할당제 도입을 어떻게 보나? 한겨레 7월 여론조사
월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내신 비율의 상향 조정에 찬성률이 높았다. 월 소득 150만원 미만에선 25.1%가 올리자고 한 반면, 150만~300만원 소득자 가운데선 37.0%가, 300만원 이상 소득자에선 43.9%가 내신 비율을 올리는 데 찬성했다.

최근 대학 입시의 내신 반영 비중을 둘러싸고 교육인적자원부, 청와대와 대학들이 갈등을 빚은 것과 관련해선, 응답자들은 그 책임을 주로 교육부(44.4%)와 청와대(23.2%) 쪽에 뒀다. 대학들에 책임이 있다는 응답은 14.5%에 그쳤다.

한편, 교육부가 저소득층·소외층의 대학 교육 기회를 늘리기 위해 내년 도입하겠다는 ‘기회균등 할당제’ 정책에는 압도적 다수(72.2%)가 찬성했다. 이는 지방대들이 ‘기회균등 할당 전형을 정원외로 도입하면 수도권 대학들로 학생이 더 몰릴 것’이라는 이유로 극력 반대하는 것과는 대조된다.

이수범 기자 kjlsb@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식사도 못 하신다”…인생의 친구 송대관 잃은 태진아 1.

“식사도 못 하신다”…인생의 친구 송대관 잃은 태진아

[속보] 검찰, ‘타지마할 외유성 출장’ 의혹 김정숙 여사 무혐의 2.

[속보] 검찰, ‘타지마할 외유성 출장’ 의혹 김정숙 여사 무혐의

박현수 경찰국장 서울청장 임명 임박…윤석열 ‘옥중 인사권’ 논란 3.

박현수 경찰국장 서울청장 임명 임박…윤석열 ‘옥중 인사권’ 논란

박지원 “대관아! 이렇게 황망하게 가느냐” 애도 4.

박지원 “대관아! 이렇게 황망하게 가느냐” 애도

“인도가 초청”…검찰, 김정숙 여사 ‘타지마할 외유’ 의혹 무혐의 5.

“인도가 초청”…검찰, 김정숙 여사 ‘타지마할 외유’ 의혹 무혐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