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항쟁 20돌 끝나지 않은 6월
1부- 1987, 그후 20년 ③ 다큐6월
1부- 1987, 그후 20년 ③ 다큐6월
당시 정책실장이 밝힌 막전막후
선거혁명론-군부퇴진론 논쟁속
YS·DJ “싸우지 않고 희생” 약속
단일화 실패 지역분열 불씨로 1987년 6월항쟁 당시 민주세력 통합기구인 ‘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본부’(이하 국본)가 6·29선언을 공식 수용한 것은 김대중·김영삼 두 정치인이 국본에 후보단일화를 약속했기 때문이었다. 당시 국본의 정책기획실장이자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이하 민통련)의 사무처장이었던 성유보 전 방송위원회 상임위원은 10일 “1987년 6월30일께 서울 마포구 합정동 마리스타 수도원에서 노태우 민정당 대통령 후보의 6·29선언을 수용 여부를 두고 국본 지도부의 대논쟁이 벌어졌다”며 “최종적으로 6·29선언을 수용하기로 결정한 것은 그 자리에 참석한 김대중·김영삼 두 사람이 대통령 선거에서 후보를 단일화하겠다고 약속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성 전 위원은 “그날 회의에서 김대중·김영삼씨 등 야당쪽은 선거를 통해 군부정권을 민주정부로 교체해야 한다는 ‘선거혁명론’을 들고나왔고, 민통련 등 재야쪽은 새로운 체제를 구성하기 위해 전두환 정권을 먼저 물러나게 해야 한다는 ‘군부정권 우선퇴진론’을 주장해 의견이 크게 갈렸다”면서 “민주세력의 분열을 막기 위해 민통련이 후보단일화를 조건으로 선거혁명론으로 수용하자는 의견을 제출하자 두 김씨가 단일화를 약속했고, 국본 전체가 합의했다”고 밝혔다. 두 사람은 다음날인 7월1일 오전 열린 민추협 상임운영위원회에서도 “현 정권의 일관된 정책은 우리를 갈라놓는 것이지만 우리는 흔들림이나 한치의 간격도 없이 단합하며, 민주화 이후까지도 협력하겠다”며 “80년과 같은 우매한 짓을 하지 않고 표대결로 싸우지 않겠으며, 국민을 위해 어떤 희생도 감수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두 사람의 후보 단일화는 10월22일 외교구락부 회동을 끝으로 실패로 돌아갔다. 이날 상황에 대해 박명림 연세대 국제학대학원 교수는 “당시 민통련 등 재야가 요구한 후보 단일화를 두 김씨와 제도정치권이 수용한 점은 당시 사회운동권이 상황을 주도했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두 김씨의 분열은 결국 자유주의와 진보·민중 세력의 분열, 시민사회와 제도정치권의 분열, 지역간의 분열로 이어져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큰 지체를 가져왔다”고 평가했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YS·DJ “싸우지 않고 희생” 약속
단일화 실패 지역분열 불씨로 1987년 6월항쟁 당시 민주세력 통합기구인 ‘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본부’(이하 국본)가 6·29선언을 공식 수용한 것은 김대중·김영삼 두 정치인이 국본에 후보단일화를 약속했기 때문이었다. 당시 국본의 정책기획실장이자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이하 민통련)의 사무처장이었던 성유보 전 방송위원회 상임위원은 10일 “1987년 6월30일께 서울 마포구 합정동 마리스타 수도원에서 노태우 민정당 대통령 후보의 6·29선언을 수용 여부를 두고 국본 지도부의 대논쟁이 벌어졌다”며 “최종적으로 6·29선언을 수용하기로 결정한 것은 그 자리에 참석한 김대중·김영삼 두 사람이 대통령 선거에서 후보를 단일화하겠다고 약속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성 전 위원은 “그날 회의에서 김대중·김영삼씨 등 야당쪽은 선거를 통해 군부정권을 민주정부로 교체해야 한다는 ‘선거혁명론’을 들고나왔고, 민통련 등 재야쪽은 새로운 체제를 구성하기 위해 전두환 정권을 먼저 물러나게 해야 한다는 ‘군부정권 우선퇴진론’을 주장해 의견이 크게 갈렸다”면서 “민주세력의 분열을 막기 위해 민통련이 후보단일화를 조건으로 선거혁명론으로 수용하자는 의견을 제출하자 두 김씨가 단일화를 약속했고, 국본 전체가 합의했다”고 밝혔다. 두 사람은 다음날인 7월1일 오전 열린 민추협 상임운영위원회에서도 “현 정권의 일관된 정책은 우리를 갈라놓는 것이지만 우리는 흔들림이나 한치의 간격도 없이 단합하며, 민주화 이후까지도 협력하겠다”며 “80년과 같은 우매한 짓을 하지 않고 표대결로 싸우지 않겠으며, 국민을 위해 어떤 희생도 감수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두 사람의 후보 단일화는 10월22일 외교구락부 회동을 끝으로 실패로 돌아갔다. 이날 상황에 대해 박명림 연세대 국제학대학원 교수는 “당시 민통련 등 재야가 요구한 후보 단일화를 두 김씨와 제도정치권이 수용한 점은 당시 사회운동권이 상황을 주도했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두 김씨의 분열은 결국 자유주의와 진보·민중 세력의 분열, 시민사회와 제도정치권의 분열, 지역간의 분열로 이어져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큰 지체를 가져왔다”고 평가했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