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운’으로 아·태 난 전시회에서 대상받은 최영욱씨
최영욱씨 “한국 춘란 기품 중·일은 못따라와”
희귀종 ‘주금소심’ 1억원 호가
심각한 위궤양 난 키우며 다스려
“한국란 역사 짧지만 잠재력 무궁” 그 난초의 품명은 ‘주금소심’(朱金素心), 이름은 ‘채운’(彩雲)이다. 산에서 내려온 지 15년, 마침내 정상에 섰다.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리고 있는 제9회 아시아·태평양 난전시회의 동양란(자생춘란) 부문에서 대상을 받은 한국란 ‘채운’은 전시회를 찾은 난 애호가들로부터 사랑을 듬뻑 받으며 자태를 뽐내고 있다. 꽃 색깔이 붉음(朱)과 노랑(金)의 중간에 있고, 꽃의 혀(心)에 흰색(素)이 있다고 해서 애호가들의 절대적인 사랑을 받고 있는 이 한국란은 가격이 1억원을 웃도는 ‘귀하신 몸’이다. 가격이 비싸다는 것은 곧, 희귀하다는 것과 동일시된다. 이 품종이 사랑을 받는 이유는 꽃 색깔에서 10만분의 1 정도 확률이 있다는 돌연변이가 두가지(주황과 흰색) 동시에 일어났기 때문이다. 이 한국란을 출품한 최영욱(60)씨는 “한국란은 은근하고, 깊이있는 품위를 보여줍니다. 특히 봄에 꽃이 피는 춘란은 중국과 일본의 것이 도저히 따라올 수 없는 매력을 풍깁니다”라며 전시장 옆에서 관람객들에게 친절한 설명을 해준다.
이번 대회 대상을 받은 ‘주금소심’. 한 촉당 3천만원으로 1억원을 웃돈다.
길을 읽은 항해사가 멀리 섬에서 자라는 이 란(속국)의 냄새를 맡아 방향을 잡았다는 한국의 풍란.
난의 잎이 중간이 투명하고, 꽃의 색이 두가지 색이라 가치가 높은 동양란.
잎에 뱀의 껍질 무늬가 있다는 동양란.
꽃잎이 힘차게 뻗어있고, 꽃의 중심이 마치 사람의 얼굴 같은 동양란.
한촉에 4천만원으로, 모두 5촉으로 구성돼 있어 2억원을 웃도는 중국에서 출품한 동양란.
화려한 자태의 서양란.
화려한 자태의 서양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