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계·종교계·시민사회 원로 10명이 12일 오전 서울 중구 정동 세실레스토랑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한-미 자유무역협정 협상을 중단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김성훈 상지대 총장,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 이종훈 덕성학원 이사장, 박상증 참여연대 공동대표, 주종환 한국사회경제학회 명예회장, 청화 조계종 교육원장.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경찰, 15~19일 평화시위 등 ‘준법서약’ 요구
범국본 “기본권 유린” 서울 집회 강행 계획
범국본 “기본권 유린” 서울 집회 강행 계획
경찰이 오는 15~19일 서울에서 열리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제6차 협상 기간 동안 ‘한-미 자유무역협정 저지 범국민운동본부’(범국본)의 시위를 또 전면 금지하기로 했다.
경찰청은 12일 “범국본이 평화시위를 하겠다고 밝혔으나 믿을 수 없어 이들이 낸 집회 신청에 대해 금지통고를 했다”고 밝혔다. 앞서 범국본은 16일 오후 2시 서울 대학로에서 협상 장소인 신라호텔까지 거리행진을 하겠다고 두차례에 걸쳐 집회 신고를 냈다.
경찰은 △범국본 대표자 5명이 경찰쪽과 평화시위를 하겠다는 양해각서를 맺고 △지난해 벌어진 폭력시위를 인정하고 국민에게 사과하며 △여의도 등 도심 이외의 곳에서 시위를 할 경우 집회·시위를 허용하겠다는 조건을 내걸었으나, 범국본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박석운 범국본 집행위원장은 “우리는 잇단 기자회견 등을 통해 평화집회를 열겠다고 국민들 앞에 약속했다”며 “경찰의 요구는 헌법상 기본권을 유린하는 것으로서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박했다. 범국본 소속 농축수산 비상대책위원회도 이날 오전 경찰청 앞에서 회견을 열고 “400만 농축수산인들을 대표해 16일 집회를 평화적이고 대중적인 방법으로 진행할 것을 국민들 앞에 약속한다”며 “경찰이 평화 집회를 허락하지 않는 것은 명분이 없다”고 주장했다.
범국본은 앞으로 최대한 경찰과 협의해 집회가 허용되도록 노력할 방침이지만, 경찰이 끝까지 불허할 경우 집회를 강행하겠다는 태도다. 범국본은 16일 범국민총궐기대회를 정점으로 17일엔 농민결의대회, 18일엔 상근자들의 홍보 행진과 촛불 문화제 등을 계획하고 있다.
경찰은 서울을 제외한 지방에서는 관련 집회 신고가 들어오지 않은 것으로 미뤄 16일 집회가 서울로 집중될 것으로 보고, 상경 시위대를 적극 차단하는 한편 3천여명의 경찰을 배치해 집회를 물리적으로 막을 방침이다.
이유주현 전종휘 기자 edigna@hani.co.kr
각계 원로 10명 “FTA 협상 중단을” 김성훈 경실련 공동대표와 박상증 참여연대 공동대표 등 학계·종교계·시민단체 원로 10명은 12일 기자회견을 열어 한-미 자유무역협정 협상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원로들은 이날 서울 중구 정동 세실레스토랑에서 회견을 열어 “한-미 자유무역협정은 협상 과정에서 민주적 절차가 존중되지 않았고 협상 내용도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아 국민 공감대와 합의 기반이 취약하다”며 “미국의 일정에 따른 ‘무리한 빅딜’ 등 합의없는 타결을 강행할 경우 심각한 사회적 갈등과 국가 경제의 손실이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또 정부를 포함한 각 사회 부문 사이의 이견이 조율되지 않고 사후 대책도 마련되지 않은 채 협상이 무리하게 강행되고 있는 데 대해 우려를 표하면서, “지난 5차례의 협상 결과도 전혀 만족스럽지 않다”고 덧붙였다. 회견에는 박영숙 한국여성재단 이사장,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 오충일 과거사진실규명위원회 위원장, 이종훈 덕성학원 이사장, 임재경 전 한겨레신문 부사장, 주종환 한국사회경제학회 명예회장, 청화 스님, 함세웅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등이 함께 했다. 전종휘 기자 symbio@hani.co.kr
각계 원로 10명 “FTA 협상 중단을” 김성훈 경실련 공동대표와 박상증 참여연대 공동대표 등 학계·종교계·시민단체 원로 10명은 12일 기자회견을 열어 한-미 자유무역협정 협상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원로들은 이날 서울 중구 정동 세실레스토랑에서 회견을 열어 “한-미 자유무역협정은 협상 과정에서 민주적 절차가 존중되지 않았고 협상 내용도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아 국민 공감대와 합의 기반이 취약하다”며 “미국의 일정에 따른 ‘무리한 빅딜’ 등 합의없는 타결을 강행할 경우 심각한 사회적 갈등과 국가 경제의 손실이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또 정부를 포함한 각 사회 부문 사이의 이견이 조율되지 않고 사후 대책도 마련되지 않은 채 협상이 무리하게 강행되고 있는 데 대해 우려를 표하면서, “지난 5차례의 협상 결과도 전혀 만족스럽지 않다”고 덧붙였다. 회견에는 박영숙 한국여성재단 이사장,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 오충일 과거사진실규명위원회 위원장, 이종훈 덕성학원 이사장, 임재경 전 한겨레신문 부사장, 주종환 한국사회경제학회 명예회장, 청화 스님, 함세웅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등이 함께 했다. 전종휘 기자 symbi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