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재동 현대차 사옥 중축
교통평가등 대상…서울시에 인·허가권 당진 현대제철 확장공사
96만평 규모 산업단지 승인 더 받아야 현대차 그룹 사업확장 과정
막대한 자금 필요·로비개입 가능성 검찰이 불법 비자금 조성과 로비 혐의로 현대차그룹의 심장부를 정면으로 겨누면서, 현대차그룹의 불법 로비 실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수출의 주역이며 재계 2위의 ‘글로벌 기업’인 현대차그룹이 어떤 이유로 로비를 했느냐는 것이다. 검찰은 일단 인허가 문제를 꼽고 있다. 대검 중수부 채동욱 수사기획관은 27일 “수사 대상이라 구체적으로 밝힐 순 없지만, 건축 인허가와 관련해 로비가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현재 현대차그룹이 벌이고 있는 공사로 규모가 큰 곳은 서울 양재동의 현대·기아차 사옥 증축 공사와 충남 당진의 현대제철 확장 공사 등 두 군데다. 두 곳 모두 현대차그룹의 건설 계열사인 ㈜엠코(AMCO)가 맡고 있다. 엠코는 정의선 기아차 사장이 지분 25%를 갖고 있는 비상장 건설회사로, 지난해 매출액이 7900억원에 이른다. 엠코는 두 건의 공사만으로 지난해 2165억원을 수주했다. 지난해 5월 공사가 시작된 양재동 증축 사옥은 지상 21층, 지상 3층 규모로 1700억원(공시가격)짜리 공사다. 기존의 21층짜리 사옥 옆에 같은 높이와 외양으로 건설하고 있어 쌍둥이 빌딩으로 불린다. 21층짜리를 새로 올리다 보니, 교통 환경 영향평가 등의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는데, 이는 서울시 인허가 사항이다. 일각에서 서울시에 대한 로비설이 흘러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에 대해 현대차 관계자는 “새로 증축되는 사옥은 완전히 새로 짓는 게 아니라 기존의 4층 건물 위에 추가로 올리는 것으로 인허가 문제에 걸릴 것이 별로 없다”고 말했다. 충남 당진의 현대제철의 일관제철소 건립 공사는 5조원 규모로 2010년 완공 목표로 공사가 진행 중이다. 지금의 제철소 옆에 96만평 규모의 산업단지를 조성해 쇳물을 만드는 고로 2기를 세운다는 것이다. 현대제철은 지난해 5월 충남도에 송산지방산업단지 승인 신청을 내 올해 1월 승인을 받았으며, 앞으로 실시계획 승인을 더 받아야 한다. 본격적인 부지 공사를 앞두고 용지 수용을 진행 중이다. 이와 별도로 ㈜엠코는 항만 매립 공사를 진행 중이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부두 공사는 한보철강 당시 이미 인허가를 받아 놓았던 것”이라며 “현대제철은 일부 재인허가를 받은 것이라 어려움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검찰이 포착한 혐의가 또다른 공사 관련 인허가 로비와 관련된 것일 수도 있다. 아직 시작되지 않은 대규모 공사에 대해 불법 로비를 벌였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물론 건설 인허가만이 전부는 아닐 수 있다. 단순한 건설 인허가 관련 수사라고 보기엔 본사와 핵심 계열사 압수수색 등 검찰의 행보가 심상치 않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현대차 안팎에는 현대차그룹이 사업 확장을 위해 김재록(46·구속)씨를 활용했다는 추측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현대차그룹이 그동안 빠르게 사업확장을 하는 과정에서 김재록씨가 해결사로 대신 나서 수완을 발휘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2000년 ‘왕자의 난’을 계기로 현대그룹에서 계열 분리된 뒤 불과 5~6년 사이 재계 5위(자산 기준)에서 2위로 급부상하면서 활발한 계열사 인수와 사업확장이 진행됐다. 정몽구 회장의 외아들인 정의선 기아차 사장으로의 경영권 승계 문제도 빠지지 않는다. 정 회장이 의선씨에게 소유 경영권을 무사히 넘기기 위해 권력층을 포함해 이곳저곳에 ‘보험’을 들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검찰의 수사대상이 의선씨가 직접 지분을 가지고 있는 글로비스, 엠코, 현대오토넷 등에 집중되고 있는 것도 이런 추정을 뒷받침한다. 안창현 기자 blue@hani.co.kr
교통평가등 대상…서울시에 인·허가권 당진 현대제철 확장공사
96만평 규모 산업단지 승인 더 받아야 현대차 그룹 사업확장 과정
막대한 자금 필요·로비개입 가능성 검찰이 불법 비자금 조성과 로비 혐의로 현대차그룹의 심장부를 정면으로 겨누면서, 현대차그룹의 불법 로비 실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수출의 주역이며 재계 2위의 ‘글로벌 기업’인 현대차그룹이 어떤 이유로 로비를 했느냐는 것이다. 검찰은 일단 인허가 문제를 꼽고 있다. 대검 중수부 채동욱 수사기획관은 27일 “수사 대상이라 구체적으로 밝힐 순 없지만, 건축 인허가와 관련해 로비가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현재 현대차그룹이 벌이고 있는 공사로 규모가 큰 곳은 서울 양재동의 현대·기아차 사옥 증축 공사와 충남 당진의 현대제철 확장 공사 등 두 군데다. 두 곳 모두 현대차그룹의 건설 계열사인 ㈜엠코(AMCO)가 맡고 있다. 엠코는 정의선 기아차 사장이 지분 25%를 갖고 있는 비상장 건설회사로, 지난해 매출액이 7900억원에 이른다. 엠코는 두 건의 공사만으로 지난해 2165억원을 수주했다. 지난해 5월 공사가 시작된 양재동 증축 사옥은 지상 21층, 지상 3층 규모로 1700억원(공시가격)짜리 공사다. 기존의 21층짜리 사옥 옆에 같은 높이와 외양으로 건설하고 있어 쌍둥이 빌딩으로 불린다. 21층짜리를 새로 올리다 보니, 교통 환경 영향평가 등의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는데, 이는 서울시 인허가 사항이다. 일각에서 서울시에 대한 로비설이 흘러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에 대해 현대차 관계자는 “새로 증축되는 사옥은 완전히 새로 짓는 게 아니라 기존의 4층 건물 위에 추가로 올리는 것으로 인허가 문제에 걸릴 것이 별로 없다”고 말했다. 충남 당진의 현대제철의 일관제철소 건립 공사는 5조원 규모로 2010년 완공 목표로 공사가 진행 중이다. 지금의 제철소 옆에 96만평 규모의 산업단지를 조성해 쇳물을 만드는 고로 2기를 세운다는 것이다. 현대제철은 지난해 5월 충남도에 송산지방산업단지 승인 신청을 내 올해 1월 승인을 받았으며, 앞으로 실시계획 승인을 더 받아야 한다. 본격적인 부지 공사를 앞두고 용지 수용을 진행 중이다. 이와 별도로 ㈜엠코는 항만 매립 공사를 진행 중이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부두 공사는 한보철강 당시 이미 인허가를 받아 놓았던 것”이라며 “현대제철은 일부 재인허가를 받은 것이라 어려움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검찰이 포착한 혐의가 또다른 공사 관련 인허가 로비와 관련된 것일 수도 있다. 아직 시작되지 않은 대규모 공사에 대해 불법 로비를 벌였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물론 건설 인허가만이 전부는 아닐 수 있다. 단순한 건설 인허가 관련 수사라고 보기엔 본사와 핵심 계열사 압수수색 등 검찰의 행보가 심상치 않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현대차 안팎에는 현대차그룹이 사업 확장을 위해 김재록(46·구속)씨를 활용했다는 추측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현대차그룹이 그동안 빠르게 사업확장을 하는 과정에서 김재록씨가 해결사로 대신 나서 수완을 발휘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2000년 ‘왕자의 난’을 계기로 현대그룹에서 계열 분리된 뒤 불과 5~6년 사이 재계 5위(자산 기준)에서 2위로 급부상하면서 활발한 계열사 인수와 사업확장이 진행됐다. 정몽구 회장의 외아들인 정의선 기아차 사장으로의 경영권 승계 문제도 빠지지 않는다. 정 회장이 의선씨에게 소유 경영권을 무사히 넘기기 위해 권력층을 포함해 이곳저곳에 ‘보험’을 들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검찰의 수사대상이 의선씨가 직접 지분을 가지고 있는 글로비스, 엠코, 현대오토넷 등에 집중되고 있는 것도 이런 추정을 뒷받침한다. 안창현 기자 blu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