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박 대령 왜 보호 안 하나’…군인권보호관 사퇴 외친 군사고 유족들

등록 2023-09-05 19:02수정 2023-09-06 17:09

윤승주 일병·이예람 중사 등 9명 유가족 항의 방문
“박 대령 같은 군인 있었으면 길거리를 안 헤매”
항명과 이종섭 국방부 장관에 대한 ‘상관 명예훼손’ 혐의를 받고 있는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이 5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검찰단에 출석하고 있다. 김혜윤 기자 unique@hani.co.kr
항명과 이종섭 국방부 장관에 대한 ‘상관 명예훼손’ 혐의를 받고 있는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이 5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검찰단에 출석하고 있다. 김혜윤 기자 unique@hani.co.kr

“박정훈 대령 같은 군인이 있었다면 유가족들이 길거리를 헤매는 일은 없었을 텐데….”

5일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 건물 15층. 김용원 군인권보호관(상임위원) 사무실을 항의 방문한 군 사망사고 유족들이 굳게 닫힌 출입문 앞에서 절규했다. 김 상임위원은 해병대 채아무개 상병의 순직 사건을 조사하다 항명 혐의로 입건된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에 대한 긴급구제신청을 의도적으로 기각했다는 의심을 사고 있다.

군 내 인권침해 및 차별행위를 조사하는 군인권보호관 제도는 지난 2014년 선임병들의 구타·가혹 행위로 사망한 고 윤승주 일병 사건을 계기로 도입 필요성이 제기됐고, 지난해 고 이예람 중사 사망사건을 기점으로 논의가 급물살을 타면서 8년 만에 도입됐다. “아들딸의 피로 만들어진 군인권보호관”이 군 사망사고의 책임 규명 작업을 은폐하는 데 악용된다는 생각에 유가족들은 한마음으로 ‘김용원 군인권보호관 사퇴하라’는 손팻말을 들고 이곳에 섰다.

유가족들은 이날 김 상임위원과의 면담을 요구했으나 이뤄지지 못했다. 인권위 쪽은 김 상임위원이 외부 강의 일정 때문에 자리를 비워 면담이 불가능하다고 안내했으나, 유가족들은 김 상임위원이 올 때까지 기다리겠다며 자리를 옮기길 거부했다.

군 사망 사고 유가족들이 5일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 건물 15층에 위치한 김용원 군인권보호관 사무실을 항의 방문했으나 면담은 이뤄지지 못했다. 유가족 제공
군 사망 사고 유가족들이 5일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 건물 15층에 위치한 김용원 군인권보호관 사무실을 항의 방문했으나 면담은 이뤄지지 못했다. 유가족 제공

이날 항의 방문에는 윤 일병과 이 중사 유가족들을 비롯해 지난 2016년 군 복무 중 백혈병을 제때 진단·치료받지 못해 숨진 홍정기 일병, 훈련장에서 장갑차 사고로 숨진 고 남승우 일병, 고 황인하 하사, 고 고동영 일병, 고 박세원 수경 등 9명의 유가족이 참여했다.

고 윤 일병의 어머니 박미숙씨는 “유가족들이 군인권보호관제도 도입 참 잘했다 생각하고 좋아했다. 그런데 김 보호관이 긴급구제신청 안건 논의를 위한 회의에도 참석을 안 했다니 ‘멘붕’이 왔다. 이 나라가 어떻게 되려고 이러는 건지”라며 “십여년 전 승주 사건 때 (박 전 단장 같은) 수사관만 있었으면 지금까지 우리가 가슴 아프게 있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고 이 중사의 아버지 이주완씨는 “군인권보호관이 없어 우리 예람이가 죽었단 말이야. 그렇게 하지 말라고 군인권보호관이 들어온 것”이라며 절규했다.

김 상임위원이 시민단체 군인권센터와 임태훈 소장을 상대로 5000만원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한 것을 두고도 비판이 쏟아졌다. 김 상임위원은, 박 전 단장 긴급구제 안건을 다루기 위해 소집된 지난 8월 상임위에 자신이 불출석한 것을 두고 임 소장이 “의도적 회피로 보인다”고 언급한 것 등이 명예훼손에 해당한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고 이 중사 어머니 박순정씨는 “아무도 우리를 바라보지 않을 때 군인권센터에서 우리를 걱정해주고 보호해줬다. 결국 인권보호관은 우리 편이 아니라 군의 편이었다”며 “군인권보호관이 이름에 걸맞은 행동과 일을 해주길 바란다”고 했다. 고 이 중사 아버지 이주완씨는 “인권위 이름으로 인권단체를 고소했다. 그렇게 해도 되는 것”이냐고 반문했다.

유가족들은 이날 1시간30분간 김 상임위원을 기다리다 만나지 못하고 자리를 떴다. 고 윤 일병 매형인 김진모씨는 “긴급구제 안건 처리 때 도망가셨던 것처럼 오늘도 도망가신 것으로 간주하겠다”며 “이런 분한테 저희 애들을 맡길 수 없다. 이분은 사퇴하셔야 한다”고 말했다.

심우삼 기자 wu32@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170만원 떼임…서러운 과일 도매 ‘1000원 떼기’ 장사 [.txt] 1.

170만원 떼임…서러운 과일 도매 ‘1000원 떼기’ 장사 [.txt]

“그냥 정우성 ‘아들’이다…‘혼외자’는 아이 아닌 부모 중심적 언어” 2.

“그냥 정우성 ‘아들’이다…‘혼외자’는 아이 아닌 부모 중심적 언어”

서울 도심에 10만 촛불…“윤석열 거부, 민주주의 망가질 것 같아” 3.

서울 도심에 10만 촛불…“윤석열 거부, 민주주의 망가질 것 같아”

여야의정협의체 3주 만에 좌초…의료계 “참여 중단” 4.

여야의정협의체 3주 만에 좌초…의료계 “참여 중단”

소속 없이 모인 청년들 ‘윤퇴청 시국선언’ 2000자 울림 5.

소속 없이 모인 청년들 ‘윤퇴청 시국선언’ 2000자 울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