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를 앞두고 15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에서 농수산물검사부 농수산물안전성검사팀 연구원들이 수산물 방사능 안전성 검사를 하고 있다. 수원/연합뉴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한 안전성 논란이 이는 가운데 서울시교육청이 학교 급식에 대한 방사능 조사를 샘플링 방식에서 전수 조사로 확대하기로 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17일 <연합뉴스>에 “오염수 방출 위험성에 대해 과학자들끼리 입장도 첨예한 상태지만 학생들과 학부모들이 심리적으로 불안해할 수 있다”며 “안심할 수 있는 식자재를 공급하기 위해 교육청 차원에서 학교 급식에 대해 현재 수준의 샘플링 검사가 아닌 전수 조사를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학교 급식에 대한 방사능 검사는 교육청 단계에서 하는 자체 현장 검사와 서울시 산하 기관인 보건환경연구원의 정밀 검사 등 2단계로 구분된다. 서울시교육청은 오염수 방류가 가시화되는 시점에 교육청 단계의 현장 검사를 100% 전수 조사로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서울시 산하 기관의 정밀 검사도 전수 조사를 하게 해달라고 서울시 쪽에 요청할 계획이다. 당장 서울시 산하 기관인 친환경유통센터에서 실시하는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의 방사능 검사는 다음달부터 대상을 전체로 확대할 예정이다.
교육청 쪽 설명을 들어보면, 국내에 유통되는 수산물 가운데 수입산은 식품의약품안전처, 국내산은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방사능 검역 과정을 거쳐 정상인 제품만 들여올 수 있다. 서울 학생들 급식에 오르는 수산물은 2~3단계의 추가 검사를 받는다.
지금껏 학생들 급식에 오르는 수산물은 식약처와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교육청 자체 검사 등 여러 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방사능과 관련해 걱정할 수준은 아니라는 것이 중론이었다. 현재 후쿠시마를 포함해 인근 8개 현의 수산물은 수입 자체가 금지돼 있다.
하지만 일본이 오염수 방류를 예고하면서 교육청의 현장 검사와 서울시 산하 기관의 정밀 검사는 샘플링 검사여서 오염 물질을 제대로 잡아내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현장·정밀 검사는 서울 관내 모든 학교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매년 100∼200곳의 학교를 순차적으로 정해 검사해왔기 때문이다.
이에 서울시교육청이 기존 샘플링 조사에서 전수 조사로 확대함으로써 학생과 학부모들의 불안감을 잠재울 수 있을지 주목된다.
서정민 기자
westmi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