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관계자들이 14일 오전 서울 종로구 동숭동 경실련 강당에서 윤석열 정부 대통령비서실 고위공직자들의 재산을 분석한 내용을 발표하기 전 손팻말을 든 채 공직 윤리 강화 등을 요구하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윤석열 정부 대통령비서실에서 근무하는 1급 고위공직자 1명당 평균 48억원 상당의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조사됐다. 2020년 공개된 문재인 정부 시절 청와대 고위공직자 평균 재산과 견줘, 3.5배 많은 수준인데 지난해 기준 국민 평균 재산과 비교하면 10.5배 많다. 특히 부동산 자산이 전 정권(9억1천만원)보다 3.4배 늘어난 31억4천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국민 평균 부동산 재산보다 7.5배 많은 것으로 전 정권 때(2.7배)보다 격차가 더욱 벌어졌다.
14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기자회견을 열어 “대통령비서실 고위공직자 37명의 1명당 재산은 평균 48억3천만원, 이 중 부동산 재산이 평균 31억4천만원으로 각각 국민 평균 재산 및 부동산 재산 대비 10.5배, 7.5배가 된다”고 밝혔다. 경실련은 지난해 관보에 공개된 공직자 재산공개 자료를 바탕으로 재산 현황을 분석했다.
가장 많은 재산을 소유한 대통령비서실 고위공직자는 446억원을 신고한 이원모 인사비서관이었다. 이어 김은혜 홍보수석(265억7천만원), 김동조 국정메시지비서관(124억2천만원), 이관섭 국정기획수석(75억3천만원), 주진우 법률비서관(72억7천만원) 차례로 많았다.
부동산 재산만 놓고 보면, 김은혜 홍보수석비서관(213억9천만원), 이관섭 국정기획수석비서관(137억4천만원), 강인선 해외홍보비서관(67억9천만원), 이원모 인사비서관(63억원) 차례로 많았다.
이날 발표된 윤석열 대통령실 고위공직자 전체 재산과 부동산 재산 평균은 전임 문재인 정부 집권 4년차 때보다 각각 3.5배, 3.4배 많은 수준이다. 경실련이 2020년 관보에 공개된 문재인 청와대 고위공직자 40명의 재산을 분석했더니, 평균 재산은 13억6천만원, 부동산 재산 평균은 9억1천만원이었다. 당시 국민 평균 재산보다 각각 3.7배(3억6천만원), 2.7배(3억4천만원) 많은 수준이었다.
또 윤석열 대통령실 고위공직자 중 절반 가까운 17명(45.9%)은 직계존비속 명의로 3천만원을 초과하는 주식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실련은 주식 매각·백지신탁 신고를 하지 않은 고위공직자로 김동조 국정메시지비서관, 주진우 법률비서관, 고득영 보건복지비서관, 김은혜 홍보수석, 조성경 과학기술비서관, 임상준 국정과제비서관, 김일범 의전비서관, 이기정 홍보기획비서관, 강승규 시민사회수석, 최상목 경제수석 등 10명을 지목했다.
경실련은 “신고 이후에도 3천만원 초과 주식을 보유한 이원모 인사비서관, 김대기 비서실장, 안상훈 사회수석 등 3명은 주식 백지신탁 심사 청구 여부와 그 내용을 공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현행 공직자윤리법은 고위공직자가 보유한 주식의 총 가액이 3천만원을 넘길 경우, 상한선을 초과한 날부터 2개월 이내에 주식을 매각하거나 신탁해야 한다고 규정한다.
경실련은 “윤석열 대통령이 공직사회 윤리 강화를 위해 참모들에게 실사용하지 않는 부동산 처분 및 임대업 금지, 3천만원 초과 보유 주식 처분을 명령하라”고 촉구했다.
박지영 기자
jyp@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