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서울 서초구 빗썸 고객센터 전광판에 루나 차트가 띄워져 있다. 연합뉴스
국산 가상자산(암호화폐) 루나·테라 폭락으로 손실을 본 투자자들이 법적 대응에 나섰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 취임 뒤 즉시 부활시킨 서울남부지검 금융‧증권범죄합동수사단(합수단)이 이 사건 관련 수사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루나·테라 가상자산 피해자들을 대리하는 법무법인 엘케이비앤파트너스는 19일 오후 서울남부지검 합수단에 루나와 테라를 설계하고 발행한 권도형 테라폼랩스 대표이사 등 공동창업자 3명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 등으로 고소·고발했다고 밝혔다.
피해자들은 권 대표 등이 피해자들에게 가상화폐의 오류 등을 제대로 알리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권 대표 등은 루나‧테라 코인 발행하면서 알고리즘 상의 설계 오류 및 하자에 관해 제대로 고지하지 않았고, 백서 등을 통해 고지한 것과 달리 루나 코인 발행량을 무제한으로 늘리는 등 피해자들을 속였다”고 주장했다.
테라는 달러 등 법정 화폐와 연동하도록 설계된 가상자산인 ‘스테이블 코인’이다. 루나는 테라의 가치를 떠받치기 위해 만들어진 자매화폐다. 세계 가상자산 시가총액 10위까지 올랐던 루나는 지난 5월 초부터 가격이 급락해 최고가 기준 99% 이상 폭락하기도 했다.
이번 사건은 서울남부지검 합수단이 부활한 이래 맡을 첫 번째 사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 장관은 지난 17일 한 취임 직후 ‘1호 지시’로 남부지검 합수단을 부활시킨 바 있다. 서울남부지검은 이튿날 검사 7명과 검찰 직원 29명 등을 포함해 총 48명으로 구성된 합수단을 출범시켰다. 합수단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 관계기관과 협력해 직접수사를 진행한다.
강재구 기자
j9@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