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낮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30주년을 맞은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1525차 정기 수요시위가 열려 참가자들이 손팻말을 들고 일본 정부에 사죄와 배상을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수요시위 30주년을 기념하는 ‘제1525차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가 5일 낮 서울 종로구 중학동 옛 주한일본대사관 인근 연합뉴스 사옥 앞에서 열렸다.
수요시위는 1991년 8월14일 김학순 할머니가 최초로 위안부 피해 사실을 공개 증언한 뒤, 1992년 미야자와 기이치 당시 일본 총리의 방한에 앞서 그해 1월8일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현 정의기억연대) 회원 30여명이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집회를 열면서 시작됐다.
참가자들이 손팻말을 들고 일본 정부에 사죄와 배상을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신소영 기자
이날 수요시위도 ‘바위처럼’ 노래와 율동으로 시작됐다. 수요시위 30년을 돌아보는 영상이 상영되고 문화공연과 연대 발언, 영상들이 이어졌다. 코로나19로 현장을 찾지 못한 할머니들은 영상 메시지로 함께 했다. 이옥선 할머니는 “일본은 한국 땅에서 강제로 끌고 간 적이 없다고 하는데 거짓말하지 말고 솔직하게 말하라는 것이다. 그게 반성이다”라며 일본의 사죄를 촉구했다. 이용수 할머니도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수요시위) 단상에 나와 이야기해주는 분들 너무나 감사하다”며 “유엔 고문방지협약을 통해 ‘위안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집회 장소에는 수요시위 30년 역사를 돌아보는 사진 40여장도 전시됐다. 참가자들은 숨진 ‘위안부’ 피해자들을 추모하는 노란 나비 손팻말과 일본 정부의 사죄를 촉구하는 손팻말들을 들고 나와 함께 했다. 참가자들은 수요시위를 마친 뒤 광화문을 지나 외교부까지 거리행진도 진행했다.
한편 이날 수요시위도 보수성향 단체 자유연대 등이 기존 수요시위 장소인 평화의 소녀상 앞에 집회 신고를 먼저 내 자리를 선점하면서 소녀상 앞이 아닌 연합뉴스 사옥 앞에서 열렸다. 수요시위에 앞서 정의기억연대를 등 5개 단체로 구성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단체 네트워크는 최근 1년간 수요시위 현장에서 발생하는 욕설과 혐오 발언, 명예훼손 등 인권침해를 국가공권력이 방치하고 있다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제기하고 긴급구제를 신청했다. 현장의 사진을 모아본다.
참가자들이 손팻말을 들고 일본 정부에 사죄와 배상을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신소영 기자
이나영 정의기억연대 이사장이 성명서를 낭독하고 있다. 신소영 기자
한 수요시위 참가자가 피해자 할머니들의 영상 발언을 들으며 눈물을 흘리고 있다. 신소영 기자
수요시위를 마친 참가자들이 외교부 방향으로 행진을 하고 있다. 신소영 기자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