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일 서울 강서구 한 다세대주택에서 숨진 채 발견된 어머니와 아들, 이들의 친척 등 3명이 근로 능력이 없는 기초생활수급자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은 정확한 사망 원인을 밝히기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에 부검을 의뢰했다.
6일 <한겨레> 취재 내용을 종합하면, 어머니 ㄱ(59)씨와 아들 ㄴ(34)씨는 지난 2014년부터 기초생활수급자 신분으로 생계·의료·주거 급여 지원을 받아왔다. 강서구청은 이들이 근로능력이 전혀 없다고 판단했고, 실제로 수급비를 제외한 수입이 전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구청과 주민센터는 ㄱ씨가 우울증을 앓았고 ㄴ씨는 류머티즘성 관절염을 앓았다고 파악하고 있다. 이들은 2015년부터 전세 임대로 지금의 집에서 살았고, 주거급여 지원으로 주거비 부담은 없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구청 관계자는 “이들이 공과금 연체도 없었다”고 전했다. 이들과 함께 숨진 채 발견된 친척 ㄷ씨는 ㄴ씨의 친척으로 역시 기초생활수급자였다. 모자와 주소지는 다른 것으로 확인됐다.
주민센터에서 지난 4월 이들을 살폈지만 이상징후는 파악하지 못했다고 한다. 주민센터 관계자는 “지난 4월 전화로 안부를 확인하고 쓰레기봉투를 전달해주면서 상황을 살폈다. 당시 특별한 이상징후는 없었고 이후 주변 신고도 없었다”며 “추석을 전후해 가정 방문을 계획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경찰은 지난 5일 ㄱ씨의 둘째 아들로부터 “가족이 연락을 받지 않는다”는 신고를 받고 출동해 이들이 숨져있는 것을 발견했다. 당시 주검의 부패가 일부 진행된 상황이었다고 한다. 경찰은 “현장에 외부인 침입 흔적이나 범행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흉기 등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유서도 나오지 않았다”고 밝혔다. 경찰은 정확한 사인을 밝히기 위해 국과수에 부검을 의뢰한 상태다.
이주빈 기자
ye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