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입시 반영 논란일듯
‘방과후 학교’에서 이뤄진 비교과영역 활동을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김진표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은 26일 청와대에서 ‘방과후 학교 정책 토론회’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방과후 학교를 통해 학생들이 수행한 비교과영역 활동을 담임 교사가 학생부 비교과영역에 충실하게 기록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렇게 되면 학생 중심의 다양한 교육활동이 학교 안에서 이뤄져 사교육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008학년도 대입제도의 성공적인 정착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이는 정규 교육과정이 아닌 방과후 학교의 교육내용을 대학 입시에 반영하겠다는 것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한만중 전교조 정책위원장은 “사실상 학생들에게 방과후 학교 참여를 강제하겠다는 발상”이라며 “고등학교의 경우 대부분 방과후 활동이 입시와 관련된 교과 위주로 이뤄지는데 비교과 활동을 기록해 사교육을 학교로 흡수하겠다는 것은 전혀 현실성도 없는 정책”이라고 지적했다.
김 부총리는 “방과후 학교가 입시 위주의 교육에만 치우칠 경우 오히려 정규 교육과정을 위축시킬 수 있다는 일부의 우려를 씻기 위해 학습지 문제풀이 위주의 프로그램과 정규 교육과정의 정상 운영을 해치는 프로그램은 허용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방과후 학교 운영은 학부모단체가 맡는 것이 가장 좋지만, 지역 시민단체나 교육대학, 대학 사범대 등이 운영하는 것도 바람직하다”며 “하지만 대형 학원들의 방과후 학교 시장 진출을 막기 위해 이들 업체들이 만든 비영리법인은 운영에 참여할 수 없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교육부는 취약지역에서 학교 보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초등학교를 종전의 600곳에서 올해는 1000곳으로 늘려 2만여명의 어린이들이 방과후 보육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도시지역에서는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사업과 연계해 30개 지역 160개 초·중·고교에서 12만명의 학생들에게 방과후 학교 서비스를 제공하고, 농어촌지역의 경우 9개 군 지역을 시범지역으로 선정해 135개 학교 4만5000명을 대상으로 방과후 학교 활성화 사업을 시범 운영한다. 교육부는 이를 위해 올해 510억원의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종규 기자 jk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