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교육

내용도 문장도 반듯한 공익광고를 꿈꾸며

등록 2020-09-21 18:46수정 2020-10-19 09:53

[쉬운 우리말 쓰기]

연재ㅣ1회 공익광고 속 우리말
공익광고는 정부에서 공익을 목적으로 만드는 광고이므로, 그 내용 못지않게 사용하는 언어도 쉽고 바르고 품격 있는 공공언어를 써야 할 의무가 있다.
공익광고는 정부에서 공익을 목적으로 만드는 광고이므로, 그 내용 못지않게 사용하는 언어도 쉽고 바르고 품격 있는 공공언어를 써야 할 의무가 있다.
<한겨레>가 국어문화원연합회와 ‘쉬운 우리말 쓰기’ 연재를 시작한 지 벌써 넉달째를 맞았습니다. 코로나19의 재유행으로 박물관 취재가 어려워 이번 호부터는 4회에 걸쳐 ‘공익광고 속 우리말’ 이야기를 하려 합니다.

더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시민들의 인식을 고양하는 데 앞장서온 공익광고, 그 공익광고도 공공기관에서 만들기 때문에 쉽고 바르고 품격 있는 공공언어를 써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공익광고에서 우리말이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 살펴보며, 쉬운 우리말 쓰기에 대해 독자들과 함께 고민해보는 자리가 되었으면 합니다. 박물관에서 쓰는 말 이야기는 박물관을 자유롭게 갈 수 있을 때 다시 이어가겠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

출근 또는 외출할 때 꼭 챙기는 것이 있다. 휴대전화, 지갑, 열쇠, 이어폰. 다른 건 몰라도 이 중 한 가지라도 없으면 다시 집에 돌아가 챙겨 나온다.

올해부터 한 가지 더해졌는데, 마스크다. 국민 대다수가 마스크를 잘 쓴 덕분에 우리나라는 전세계에서 대유행하는 코로나19 감염자가 적은 것이겠다.

마스크가 필수품이 된 것은 코로나19 때문이지만, 감기와 황사·미세먼지의 공격에서 내 몸을 지키는 최소한의 방패로 마스크를 쓰기 시작한 건 벌써 여러 해 되었다. 그 마스크의 중요함을 다룬 공익광고가 있는데, 그 문장이 이러하다.

* 공익광고: 마스크로 안 아픈 예방접종하세요

독감, 신종플루, 메르스 등 각종 바이러스는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타인으로부터 전염됩니다 마스크 착용은 이러한 전염을 예방해주는 또 하나의 예방주사입니다 -2015년 인쇄광고

“바이러스는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타인으로부터 전염됩니다”라는 문장에서 갸웃하게 된다. 이 문장은 기침이나 재채기의 주체가 나는 아니고 남이라는 것인데, 누가 한 것이든 기침과 재채기로 전염되는 것 아닌가. 그래서 마스크는 다른 사람에게서 내가 감염되는 것을 막으려 쓰는 것이기도 하지만, (무증상 감염자일 수도 있는) 내가 의도치 않게 남을 감염시킬까 봐 쓰는 것이기도 하다.

영어를 직역한 듯한 이 어색한 문장은 읽는 순간 뜻이 바로 전달되어야 하는 광고문(카피)으로서 어울리지 않는다. “타인으로부터”라는 말을 빼면 ‘바이러스는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전염됩니다’가 된다. 훨씬 간결하고 뜻도 잘 통한다.

그런데 바로 아래 문장에 ‘전염’이 또 나온다. 말을 아끼고 아껴야 하는 광고문에서, 꼭 써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같은 말을 두 번 쓰는 것은 낭비다. 이어지는 문장이 “마스크 착용은 ~ 예방주사입니다”인데, 이 문장에도 ‘예방’이 두 번 나온다. 군더더기를 빼고 전체를 다듬어 다시 써보았다.

독감, 신종플루, 메르스 등 바이러스는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널리 퍼집니다 마스크 쓰기는 이러한 전염을 막아주는 또 하나의 예방주사입니다”

* 공익광고: “엄마! 학교 앞에 놀이공원 있어!”

아이들에게 해로운 환경이 될 수 있는 상업 시설은 아이들로부터 보다 먼 곳에 만들어주세요 자라나는 아이들은 어른들의 유해환경으로부터 보호 받아야 합니다 -2019년 인쇄광고

“아이들로부터”, “유해환경으로부터”의 ‘(으)로부터’는 영어 ‘from’에서 온 말이다. 입에 좀처럼 붙지 않는 이 말을 빼고, ‘아이들과 멀리 떨어진 곳에’ 정도로 쓰면 좋겠다.

“유해환경으로부터 보호 받아야 한다”도 영어를 직역한 듯한 어색한 말투다. “보다”는 ‘형보다 동생이 많이 먹는다’ 같은 문장에서 쓴 비교격 조사가 아니라 ‘더’라는 뜻을 가진 부사로 쓰였다. 이는 일본말의 영향이다.

외래어도 우리말을 풍부하게 해주는 말이라면 얼마든지 환영인데, 이런 식으로 소통을 어렵게 만드는 경우가 많아서 문제다. 이 광고문을 자연스러운 우리 말법에 따라 고쳐보았다.

“아이들에게 해로울 수 있는 상업 시설은 아이들과 멀리 떨어진 곳에 만들어주세요 아이들은 유해환경 없는 곳에서 건강하게 자라야 합니다”

상업 광고의 목적은 상품을 사람들의 눈과 귀와 마음에 강렬하게 남겨 더 잘 팔리게 하는 데 있으므로, 우리말을 바르게 쓰는 데 무게중심을 두지 않는다.

그러나 공익광고는 정부에서 공익을 목적으로 만드는 광고이므로, 그 내용 못지않게 사용하는 언어도 쉽고 바르고 품격 있는 공공언어를 써야 할 의무가 있다.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시민의식을 높이는 데 앞장서온 공익광고가 바른 우리말을 사용해 가치 있는 주제를 더 빛낼 수 있기를 바란다.

신정숙 교열부 기자 bom1@hani.co.kr

감수 상명대학교 계당교양교육원(분원) 부교수 서은아

공동기획: 한겨레신문사, (사)국어문화원연합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의료급여 빈곤층’ 본인부담금 7배 뛸 수도…정률제로 전환 추진 파장 1.

‘의료급여 빈곤층’ 본인부담금 7배 뛸 수도…정률제로 전환 추진 파장

강혜경 “말 맞추고 증거 인멸”…윤 부부 옛 휴대전화 증거보전 청구 2.

강혜경 “말 맞추고 증거 인멸”…윤 부부 옛 휴대전화 증거보전 청구

[단독] “명태균, 대통령실 취업 등 청탁 대가로 2억”…검찰 진술 확보 3.

[단독] “명태균, 대통령실 취업 등 청탁 대가로 2억”…검찰 진술 확보

버려져 외려 드러난 죽음 ‘암장’...몇 명이 죽는지 아무도 모른다 4.

버려져 외려 드러난 죽음 ‘암장’...몇 명이 죽는지 아무도 모른다

출근길 영하권 추위 ‘빙판 주의’… 퇴근길엔 눈·비 예보 5.

출근길 영하권 추위 ‘빙판 주의’… 퇴근길엔 눈·비 예보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