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학생들이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이 진행한 ‘양성평등학교’에서 성차별과 관련해 토론을 벌이고 있다.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제공
성인식과 성평등 뿌리 내려야
“남자가 씩씩해야지, 그만 울음 뚝
여자애가 다소곳하지 못하고 자꾸…”
색깔, 진로, 놀이 등 곳곳에 배어있고
가정에서도 남편-아내 역할 고정 전문가들은 이번 ‘미투’ 운동으로 각종 의혹이 제기된 사람에 대한 철저한 수사 및 처벌도 필요하지만, 근본적으로는 우리 사회 구성원 모두가 성인지적 감수성을 높이고 일상생활에서 성평등 사회가 구현돼야 성폭력도 예방할 수 있다고 말한다. 아이를 키우는 양육자라면, 아이가 어릴 때부터 잘못된 성별 고정관념을 갖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조언한다. ‘남자다움’, ‘여자다움’에 대한 잘못된 고정관념을 가진 채 폭력이 수반되면 성범죄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미투’ 운동을 계기로 ‘성평등 육아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어, 육아 과정에서 양육자가 드러내기 쉬운 성차별적 인식과 성역할 고정관념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봤다. 자신도 모르게 무심결에 툭툭 “남자가 씩씩해야지 그까짓 일로 왜 울어? 그만 뚝!” “여자애가 다소곳하지 못하고 자꾸 말대답이야. 그냥 아빠가 하라고 하면 해!” 아이와 대화하다가 양육자는 자신도 모르게 성차별 의식과 성별 고정관념을 드러내는 경우가 많다. 성역할 고정관념은 남성과 여성을 나눠 성별에 따라 구분되는 사회적 역할을 기대하는, 특정 사회나 문화가 갖고 있는 사고방식이나 신념을 의미한다. 성차별이란 남녀의 생물학적 성을 기초로 특정한 성에 대하여 사회적으로 부과된 편견이나 차별을 의미한다. 이현혜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교수는 “성별 고정관념은 사람의 사고나 행동을 제한한다”며 “10년 전, 20년 전에 들었던 성차별적 언행을 여전히 그것이 문제인지도 모르고 하는 어른들이 많다”고 말했다. 성별 고정관념이 여전한 영역으로는 색깔, 진로 및 직업, 놀이, 장난감, 헤어스타일, 외모, 방과후 활동 내용 등 다양하다. “민수는 남자니까 파란색 티셔츠 입을까?”라고 말한다거나 검정 등 어두운 색의 옷을 고른 여아에게 분홍색 옷을 억지로 권유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여자아이라고 무조건 머리를 길러야 예쁘다고 말하거나, 머리를 길러보고 싶은 남자아이에게 “남자니까 머리를 짧게 깎아야지”라고 말하기도 한다. 장난감을 사줄 때도 여자에게는 인형이나 주방도구 등을 고르게 하고, 남자아이들에게 자동차나 공, 로봇 등을 제시하는 경우가 많다. 놀이도 마찬가지다. 모든 여아가 인형 놀이나 소꿉놀이를 좋아하는 것이 아니고, 남자아이라도 소꿉놀이나 인형 놀이를 좋아할 수 있는데 이런 부분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지 않는 경우가 있다. 아이가 성별 고정관념을 갖지 않게 하려면, 자신의 기질과 성향에 따라 장난감과 놀이 방법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남자니까”, “여자니까”라는 말은 되도록이면 피해야 한다.
가정 내에서 고정된 성역할 깨뜨리기에 힘쓰고 있는 한 가족의 모습이다. 집안일은 가족 모두 나눠서 하는 것이 중요하다. 박승화 기자 eyeshoot@hani.co.kr
나쁜 남자가 멋지게 그려지기도
남자다움, 여자다움 고정관념에
폭력 보태지면 성범죄로
학교나 직장, 모임 등 곳곳 지뢰밭
생애 전 단계마다 성평등 교육 해야 여성의 외모를 품평하는 문화도 성차별적 인식을 강화시킨다. 이런 문화로 여아들은 “여자는 얼굴이 예뻐야 한다”거나 “날씬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갖게 된다. 그런데 막상 여아가 외모에 신경을 쓰면 부모나 선생님으로부터 ‘문제아’ 취급을 받는 모순적인 상황도 맞닥뜨린다. 서 교사는 “우리 사회에서는 여아가 자연 미인으로 태어나지 않는 한 어떻게든 이런저런 품평을 외부로부터 들어야 하는 상황”이라며 “가정이나 학교에서 칭찬을 포함한 외모 평가를 하지 않는 게 가장 좋다”고 말했다. 또 안경 쓴 컬링 국가대표, 흰머리 외교부 장관이나 화장 안 하는 선생님 등 다양한 여성 역할 모델을 여아에게 자주 제시해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저건 멋 아닌 성폭력이야” 분명히 성별 고정관념이나 성차별적 관점은 각종 대중 매체 속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예를 들어 여성과 남성이 사귀는 과정에서 남자가 여성의 손목을 휘어잡고 벽에 몰아세우면서 강제로 키스하는 장면이 나온다면, 양육자는 “저것은 멋진 남자가 아니라 성폭력이야”라고 말해줄 수 있어야 한다. 이 교수는 “나쁜 남자가 나쁜 남자로 안 보이고 심지어 멋지게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며 “아이가 대중매체 속에 그려진 왜곡된 여성상과 남성상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지 않도록 도와야 한다”고 말했다. 가족 내에서 남녀가 고정된 성역할을 하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말로는 성평등을 주장하면서 생활 속에서 실천하지 않는다면 아무 소용이 없기 때문이다. 맞벌이·외벌이 여부를 떠나 여성 양육자가 육아 및 가사노동을 다 감당한다면, 아이가 그것을 그대로 지켜보며 성역할 고정관념을 갖게 된다. 또 아빠가 “너네 엄마는 집에서 하는 게 뭐냐”와 같은 말을 쉽게 내뱉는다면, 이런 말 자체가 아이들에게 여성 혐오적 시각을 갖게 할 수 있다. 이 교수는 “양육자 외에도 아이를 만나는 모든 어른들이 성평등 의식을 갖고 있어야 한다”며 “가정 내에서 성차별을 받지 않고 자랐더라도 아이가 학교나 사회에 나가 성차별을 경험하면 좌절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생애 전 단계에서 우리 사회 구성원들이 성평등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늘려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현재 아동 성폭력 예방 교육을 보더라도 성폭력 가해자는 아이에게 친근하게 다가간 뒤 폭력을 행사하는데 어른에게 대항할 수 없는 아이에게 “싫어요” “안 돼요”라고 가르치거나 “따라가지 말라”고 알려준다. 이 교수는 “선진국은 이미 아이를 만날 수 있는 어른 대상으로 예방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며 “아동 성폭력 예방 교육의 방향도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양선아 기자 anmada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