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승후 교사의 진로·진학 마중물
교육부가 현재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이 2020년에 응시하게 될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개편 시안을 발표했다. 이번 개편안은 중3 학생뿐만 아니라 진로·진학교육 전반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큰 중요한 사안이라 전 국민이 관심을 기울여서 봐야 한다.
이 안에 따르면 2021학년도 수능부터 시험과목으로 ‘통합사회·통합과학’을 신설한다. 대신 사회탐구/과학탐구 등 선택과목은 기존 최대 2개 과목 선택에서 1개 과목 선택으로 줄일 계획이다. 따라서 학생들은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통합사회·통합과학, 선택 1과목(사회탐구/과학탐구/직업탐구), 제2외국어/한문’ 최대 7과목까지 응시할 수 있다.
그동안 교육부는 학생 간 무한경쟁과 과도한 시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2017학년도 수능부터 한국사에, 2018학년도 수능부터 영어에 절대평가 체제를 적용해왔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2021학년도 수능부터는 절대평가 적용 과목을 일부 과목 또는 전 과목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1안은 통합사회·통합과학과 제2외국어/한문 과목까지 4개 과목을 절대평가하는 방안이며, 2안은 7개 과목 모두를 절대평가하는 방안이다.
1안에 반대하는 쪽은 지금의 수능과 차이가 없으며 오히려 수능 과목만 늘려놓은 개악이라고 말한다. 이 관점에서는 상대평가 과목인 수학과 국어로 쏠림 현상이 나타나고, 7과목이라 하지만 실제는 8과목과 마찬가지로 학습 부담만 가중될 것으로 본다. 특히 탐구 1과목 선택 유불리에 따라 당락이 갈릴 수 있다고 우려한다. 이런 단계적 추진은 2015 교육과정과 수능이 엇박자를 낼 수밖에 없으므로 단계적 도입이 아닌 전 영역 전면 도입이 수험생 혼란을 줄이는 길이라고 주장한다.
1안에 찬성하는 쪽은 현행 대학입시를 유지하면서 변화를 최소화하므로 혼란을 막을 수 있다는 의견이다. 제도 변화에 따른 예측 가능성이 생기므로 변화의 방향에 대한 준비가 가능하다는 것. 아울러 시간을 두고 변별과 선발의 문제도 더 고민해보자는 입장이다. 통합사회·통합과학 교과 신설은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통합 교육의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결과라는 것이다. 교과 내용이 쉽고 성취 기준의 수를 대폭 줄였기 때문에 학습 부담이 크지 않다고 주장한다.
수능 절대평가는 수능만 따로 떼어놓고 해법을 찾아서는 안 된다. 2015 개정교육과정을 바탕으로 다각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우선 수능이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갖춘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평가 도구로 적절한지에 대한 고민이 먼저다. 정부가 수능이 미래인재 선발 방식에 맞지 않는다고 판단했다면, 2안으로 언제 어떤 방식으로 전개해 나갈지 정책 로드맵을 제시해야 한다. 교육이 백년지대계가 되려면 정책에서 희망과 비전을 읽을 수 있어야 한다. 언제까지 좌고우면 눈치만 볼 것인가? 전국진학지도협의회 정책국장,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표강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