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옥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 회장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문제은행식 국가기초학력평가’로 바꾸자고 제안했다.
해마다 되풀이되는 수능 출제 오류 및 난이도 조절 실패 논란과 관련해, ‘대입제도 개선 상설 민·관 협의기구’를 꾸려 근본적인 해법을 찾을 때가 됐다는 제안도 내놨다.
안 회장은 21일 서울 서초구 우면동 한국교총회관에서 “수능은 철학적으로 통합이 불가능한 두 가지 측면이 섞여 있어 필연적으로 오류 가능성이 높다”며 “근본적이고 즉각적으로 수능을 대수술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먼저 “수능은 문항 자체의 내적 타당도가 떨어진다”고 비판했다. 수능 지문은 창의력과 문제해결력을 중시해 범교과 융합적으로 비틀어서 내는데, 답은 오지선다형 객관식으로 단순함을 추구해 ‘오류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지적이다.
수능이 현행 교육과정과 유리돼 있는 것도 큰 문제라고 짚었다. 그는 “학교 교육과정은 교과별로 운영되는데, 수능은 지식의 총체를 담아내려는 무리한 시도를 하고 있다. 수업 시간에 배운 것으로 수능을 칠 수 없느니, 수능 문제 유형 풀이라는 비정상적·소모적 사교육 경쟁을 되풀이하는 ‘악순환의 악순환’이 지속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는 수능의 이런 문제점을 보완할 대안으로 국가기초학력평가를 제안했다. 초·중·고 12년 과정을 이수한 학생의 학업 성취도를 문제은행식 절대평가로 진단하는 방안이다.
학교교육 내용을 기반으로 기초·기본 개념 지식을 묻되, 국가기초학력평가 반영 비율은 대학별로 결정하도록 하자는 것이다. 다만 그는 “국가기초학력평가와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제안하는 ‘수능 자격고사화’는 다르다”고 선을 그었다. 진보 성향의 교육단체들은 수능을 대학 수학능력이 있는지를 ‘통과(PASS)’와 ‘낙제(FAIL)’로 나누는 데만 활용하자고 제안해왔다. 안 회장은 “국가기초학력평가는 학생들의 예측가능성을 높여주므로 1~2년 만에 시행이 가능하다”며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교원단체, 학부모단체 등 민·관이 참여하는 대입제도 개선 상설 기구를 구성해 즉각 사회적 합의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안 회장은 대입 변별력과 창의력·인성 평가를 위한 대책으로 내신과 학생부 전형, 면접 강화를 언급했다. 그는 “대학이 지금처럼 수능으로 학생을 쉽게 선발할 게 아니라, 학생부 등 중·고교 6년 종단 자료를 가지고 잠재력 있는 학생을 뽑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질적 평가와 과정 평가,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 평가는 ‘내신’으로 해결하고, 이를 학교생활기록부에 반영해 대학이 평가 자료로 활용하도록 하자는 주장이다. 안 회장은 입학사정관 제도 대신 전공 교수가 참여하는 면접을 제안하며, 논술을 점진적으로 폐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글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사진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