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의 공부의욕 높이는 말 VS 꺾는 말
학습의지 문제는 열정이 없는 것
자신감 높이는 부모의 말 중요하나
과도한 칭찬은 오히려 ‘독’ 될 수도
‘괜찮아’ ‘고생했어’ 공감의 말 필요
학습의지 문제는 열정이 없는 것
자신감 높이는 부모의 말 중요하나
과도한 칭찬은 오히려 ‘독’ 될 수도
‘괜찮아’ ‘고생했어’ 공감의 말 필요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공부의욕 꺾는 말 부모들이 가장 하기 쉬운 실수는 자녀가 공부에 대한 자신의 한을 풀어주는 존재로 여기고 말을 하는 것이다. “아빠는 서울대 못 갔지만, 너는 가야 한다”거나, “엄마처럼 공부 안 한 거 후회하지 말고 지금 열심히 해” “○○처럼 좋은 직업 가져야 하지 않겠니?” 등의 말은 자녀의 공부의욕은커녕 역효과를 낳는다. 자녀가 공부하지 않는 모습에 화가 나 감정에 복받쳐 부모가 자녀를 비난하거나 비하하는 말을 하는 행동 역시 삼가해야 한다. “네가 웬일로 공부를 하니?” “학원비가 얼마인데 매번 성적이 바닥이니?” “공부도 못하면서 뭘 하겠다고…” “이것도 제대로 못 푸니?” “커서 뭐가 될래?” 등의 말은 자존감과 자신감을 떨어뜨려 공부에 대한 흥미와 욕구마저 잃게 만든다. 다른 아이와 비교하거나 아이의 관심과 장점을 인정하지 않는 태도로 일관하며 말하는 행위도 바람직하지 않다. “옆집 애는 100점 맞았다는데, 너는 왜 이 점수밖에 못 맞니?” “○○는 이번 시험에서도 전교 1등을 했다더라.” “무슨 애가 그렇게 국사를 못 하니?” 등의 말은 하지 않는 편이 낫다. 김 교수는 “좋은 직업을 얻기 위해 공부를 하라는 말이 아이의 처지에서는 전혀 와닿지 않는 까마득한 일이라서 왜 공부를 해야 하는지 이해하지 못한다”며 “공부 못한다고 윽박지르거나, 다른 아이와 비교해서 혼내는 등의 부정적인 말은 자녀를 불안과 위축 상태로 만들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게티이미지뱅크
공부의욕 높이는 말 김영훈 교수는 <공부의욕>에서 경청하라, 공감하라, 유대감을 가져라, 필요하면 잘못을 인정하라 등의 말을 의욕을 만드는 대화법으로 꼽았다. 자녀가 나쁜 성적표를 갖고 왔을 때, 무조건 혼내기보다는 왜 시험을 망쳤는지 자녀의 얘기를 먼저 듣고, “괜찮아” “고생했어”라고 공감하고 “다음에 더 잘할 수 있어”라고 격려하는 말이 자녀의 공부 자극에 훨씬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나아가 자녀와 함께 다음 시험에서 더 좋은 성적을 내는 방법을 찾는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다. 김 교수는 “칭찬이라는 긍정적인 기억은 짧고 단단하지 않지만, 야단과 잔소리 같은 부정적인 기억은 길고 오래 간다”며 “자녀에게 야단 같은 부정적인 기억 행위를 1번 했다면 이를 없애기 위해서는 칭찬 같은 긍정적인 기억 행위를 7번 이상 해야 한다는 걸 부모가 명심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공부의욕을 높이려면 어떤 말들을 해야 할까.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 말처럼, 칭찬은 공부의욕을 끌어올리는 지름길이다. 부모의 평가를 중시하는 아이이거나, 초등학교 저학년은 칭찬의 효과가 훨씬 크다. 다만, 과도한 칭찬은 독이 될 수 있다. “대단해” “너는 천재야” “훌륭해” “역시 내 자식이야” 등을 남발할 경우 칭찬받는 걸 당연하게 여기게 돼 칭찬받지 못하면 불안과 불만을 느끼거나, 훈계와 질책을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아이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자녀의 실수와 좌절에 대한 존중을 통해 자신감을 심어주면서 한 단계 성장하는 기회로 만들도록 응원하면 공부의욕을 끌어올리는 효과를 낸다. “네가 자랑스러워” “공부하느라 힘들었지?” “이번 시험 문제가 아주 어려웠구나” “그 정도면 충분해” 등의 말이 대표적이다. 부모의 언행일치는 동기 부여에 중요한 요소다. 자녀가 공부 잘 하기를 바라면서 정작 집에서 TV나 핸드폰만 보거나, 책 한 권 읽지 않는다면 부모에 대한 자녀의 불만과 불신만 키운다. 한 마디의 말보다 부모의 진실된 행동이 공부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음을 기억하고, 수시로 모범을 보이고 솔선수범하는 모습을 보여주자. 김 교수는 “‘너는 머리가 좋은 아이야’ 대신 ‘노력을 많이 했구나!’ 또는 ‘네가 이렇게 발전한 이유가 뭐니’ 등 자기 스스로 공부하게끔 칭찬하는 말이 더 효과가 크다”며 “‘머리가 왜 이 모양이니?’ 같은 부정적인 말보다는 ‘노력을 덜 했구나!’ 같은 긍정적인 말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김미영 기자 kimm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