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세종청사 교육부 전경. <한겨레> 자료사진
정부가 올해 반도체 등 첨단산업과 신산업 분야의 인재를 양성할 대학 64개교를 선정해 420억원의 예산을 지원한다.
교육부는 21일 이러한 내용의 ‘부처 협업형 인재 양성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부처 협업형 인재 양성 사업은 교육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용노동부 등 7개 부처가 함께 추진하는 것으로, 첨단산업과 신산업 분야의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할 대학 64개교(중복 포함 143개교)를 선정해 올해 총 420억원의 교육 환경 조성 자금을 지원하는 내용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첨단산업 및 신산업 인재를 연간 4300명, 2022~2024년 총 1만3000명 양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선정된 대학은 가천대, 경북대, 연세대, 중앙대, 서울대, 부산대, 성균관대, 서울여대, 경희대, 전북대, 제주대, 충남대 등이다. 이들 대학에서는 대학생들이 첨단산업 및 신산업 기술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발·운영하고, 현장실습과 직무실습(인턴십) 등의 실무 과정을 지원하게 된다. 교육부와 각 부처는 대학의 인건비, 장학금, 교육과정 개발·운영, 시설·장비 등을 지원한다.
첨단산업과 신산업에 해당하는 세부 분야는 시스템 반도체, 인공지능(AI) 반도체, 미래형 자동차, 온실가스 감축, 수소·연료 전지, 자원개발 등이다. 시스템 반도체 분야의 인재 양성을 지원받는 대학이 30개교로 가장 많았고 미래형 자동차 분야가 15개교, 온실가스 감축 분야가 10개교로 뒤를 이었다. 이 가운데 반도체 분야에 대한 지원 사업은 지난 19일 정부가 발표한 ‘반도체 관련 인재양성 방안’의 일환으로도 포함돼 있다. 교육부가 산업부, 과기부와 각각 협업해 시스템 반도체와 인공지능(AI) 반도체에 특화된 전공트랙 과정을 개발·운영하는 사업이 이에 해당한다.
김민제 기자
summ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