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밖 청소년 10명 중 3∼4명이 정신건강 위험군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인 청소년과 비교해 2배 이상 높은 수치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지난해 7∼8월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교 3학년까지의 학생 청소년 5937명, 학교 밖 청소년 752명 등 총 6689명을 대상으로 ‘10대 청소년의 정신건강 실태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학교 밖 청소년 10명 중 적어도 3명은 우울, 불안, 자살 등에서 경도 이상의 임상적 증상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구체적으로 35%는 경도 이상의 우울 증상, 29 %가 경도 이상의 불안 증상을 겪고 있으며 36 .8 %는 자살 위험에 노출돼 있었다는 설명이다.
이는 학생 청소년과 비교했을 때 2∼3배 가량 높은 수치다. 학생 청소년의 집계 결과를 보면 각각 17.4%와 13.0%가 우울과 불안 증상에 노출돼 있었고, 16.4%는 자살 위험군으로 나타났다.
이에 더해 흡연·음주·무단결석·가출·패싸움·절도·도박 등 7가지 비행 유형 중 한 가지 이상의 비행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학생 청소년이 6.0%인 반면 학교 밖 청소년은 35.2%로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성별로 봤을 때는 학생 청소년과 학교 밖 청소년 모두 정신건강 측면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수준의 중증도를 보였다. 또 학교급이 높거나 연령대가 높은 청소년들이 학교급이 낮거나 어린 청소년들보다 높은 중증도를 나타냈다.
최정원 연구위원 등 연구진은 “중앙부처들이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사업을 하고 있지만 수동적이고 선별적인 특성을 보이고 있다. 때문에 학교 밖 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발굴과 개입이 취약하다”며 “여성가족부가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건강검진 서비스에 정신건강 검진을 추가하는 등의 방법을 동원하면 조기 치료가 원활하게 이뤄질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지은 기자
quicksilv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