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학생들이 비만과 척추측만증 진단 비용과 상담을 지원받게 된다.
25일 서울시교육청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학생들의 식습관 변화, 신체활동 감소에서 비롯된 건강 문제에 대한 대책으로 ‘서울학생 건강더하기+’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전반적인 건강진단 관리와 보건의료 서비스 환경 개선에 134억7000만원을, 이 중에서도 학생 건강검사와 생활습관질환 진단검사비에는 66억여원을 투자할 방침이다.
이 프로젝트에서 학생들은 신체 발달상황 측정, 건강조사, 건강검진, 별도검사(구강·소변·시력·결핵), 학생건강체력평가(PAPS) 등을 통해 진단을 받는다. 이 가운데 비만, 척추측만증 등 생활습관 질환 의심 소견이 나온 학생은 1인당 1회 5만원 범위 내의 추가 검진비를 지원 받게 된다. 척추측만증인 학생은 1회, 비만인 경우 비만 관련 병리 검사, 진료 또는 상담을 위해 1인당 최대 3회의 검진비(15만원)를 받을 수 있다.
진단으로 맞춤형 처방을 받은 학생들은 건강체력 교실에 참여하게 된다. 학교 기본운영비에 건강더하기 사업으로 500만원이 의무 편성된다. 체력회복 프로젝트를 별도로 운영하는 400개 학교에는 각각 최대 250만원의 예산을 추가로 지원할 계획이다. 불균형한 식생활 습관을 개선하기 위해 채식을 할 수 있는 ‘그린급식 바’도 운영한다.
의료 사각지대에 놓인 학생에 대한 지원도 강화한다. 소아당뇨 학생의 응급 대처를 위해 400개 학교에 키트를 제공하며, 희귀난치질환 학생의 치료를 위해 1인당 최대 350만원까지 지원한다. 금융산업공익재단과 원진재단부설 녹색병원과의 업무협약으로, 국내 거주 미등록 이주학생에게도 1인당 최대 200만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한편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이날 브리핑에서 설 연휴 이후 오미크론 확산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2월3일부터 개학 전까지 한 달을 ‘특별 방역대책의 달’로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조 교육감은 “학교 내 신속항원검사(자가진단키트)의 경우 서울시교육청은 늘 전향적 입장을 취해왔고 타액 검사도 이야기한 바 있다”며 “교육부와 질병청이 긍정적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하게 되면 신속하게 준비에 들어가 방역체계를 다중화하는 노력을 하겠다”고 말했다.
김지은 기자
quicksilv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