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융합형 리더를 양성하다
정성되고 믿음직한 ‘성신(誠信)’, 새로운 지식을 넓고 깊게 아는 ‘지신(知新)’, 스스로 움직여 자기 힘으로 살아가는 ‘자동(自動)’을 교육이념 삼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인재를 배출해온 성신여자대학교가 시대와 사회의 요구에 부응해 차별성과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미래 지식서비스와 소프트웨어 산업을 선도하는 융합 인재를 양성하고, 학생과 구성원 모두가 행복한 대학서비스 혁신, 산업과 사회에 공헌하는 성신여대가 되기 위해 과감한 교육과정 개편, 학생 편의시설 및 교육환경 개선, 진로·취업 지원 확대 등 다각도로 변화를 준 것이다. 또한 수리통계데이터사이언스학부, 화학·에너지융합학부, AI융합학부, 바이오신약의과학부, 바이오헬스융합학부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춘 첨단학부 신설로 학생들의 경쟁력과 전문성을 높였다.
아시아대학평가 진출 첫 회, 순위권 진입
성신여대는 올해 영국 글로벌 대학평가기관 QS가 발표한 ‘2022 아시아대학평가’ 순위권에 진입했다. 개교 이래 첫 진출에 순위권에 안착한 것. 국내 88개 대학 포함 아시아 지역 687개 대학을 대상으로 진행한 종합평가 결과, 전체 순위 216위, 서울 소재 대학 15위를 차지해 국내 여자대학 기준 두 번째로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성신여대는 학계 평판, 산업계 평판, 교원/학생 비율, 파견 교환학생 수, 유치 교환학생 수 등 지표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한중합작전공사업 등 국제교류 프로그램 다양화
성신여대는 현재 총 52개국, 261개의 세계 유수 대학 및 기관과 교류하며 2020년 대학정보공시 기준 신입생 인원 수 대비 본교생의 해외파견 비율 약 21%를 기록해 서울 소재 대학 9위, 전국대학 16위의 순위에 올라 높은 국제화 역량을 보였다. 특히 ‘한중합작전공사업’으로 국제화 역량을 대내외적으로 인정받았다. 이 사업은 중국 교육부가 외국대학의 선진교육 커리큘럼과 교수법을 도입하고 확산시키고자 추진한 것으로, 성신여대는 2012년부터 한중합작전공을 운영해온 성과를 인정받아 올해 2개 대학의 신청 및 운영 허가를 성공적으로 이뤄내 성신여대의 위상과 교육 커리큘럼의 우수성을 입증했다. 또한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IQEQAS)’ 평가에서 학위과정(학부 및 대학원)과 어학연수과정 모두 최고 등급인 우수인증대학으로 선정됐다.
■ 정시 지원 전략
성신여대 2022학년도 정시모집 정보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성신여대는 2022학년도 정시모집에서 총 767명을 선발한다. 올해는 모집단위별 수능 지정영역 반영비율 및 영어영역 등급별 환산점수 조정, 가산점 반영방법 변경 및 신설 등 변경사항을 유의해야 한다. 탐구영역은 2과목 백분위 점수 평균을 반영하며 제2외국어, 한문으로 대체할 수 없다. 지원자격 필수인 한국사의 경우 등급에 따른 가산점을 부여한다. 수능성적은 백분위 점수를 활용하며 인문/자연계열 모집단위는 4개 영역(국어/수학/영어/탐구)을 필수 반영하고, 예·체능계열 모집단위는 상위 3개 영역 선택 반영 등으로 구분되므로 본인의 수능 성적의 강점을 이용하여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 성신여대 선배가 알려주는 합격 꿀팁
“목표 학과의 장점을 미리 알아두는 게 좋아”
채다은(공예과 21)
Q. 지난해 정시모집으로 어떤 학과에 지원했나요?
고등학생 때부터 미술 관련 진로로 확실히 방향을 정해 미술대학 입시를 병행했기 때문에 환경디자인과, 공예과, 디자인테크놀로지학과를 모두 실기전형으로 선택했어요. 디자인이라는 범위 내에서 할 수 있는 건 모두 배워보고 싶었거든요.
Q. 그중에서도 성신여대를 선택한 계기가 있나요?
우연히 SNS를 통해 성신여대 공예과의 졸업전시 계정을 보게 됐어요. ‘이런 걸 어떻게 직접 디자인하고 작업했을까’ 무척 궁금해졌죠. 사실 그전에는 공예에 대해 깊이 생각해본 적이 없었거든요. 그날 선배들의 졸업 작품을 보고 생각이 바뀌었고, 다니던 미술학원 조교 선생님이 성신여대 공예과 재학생이어서 공예과에 대해 더 자세히 물었어요. 공예과의 작업 과정, 학교의 학습 환경과 취업, 창업 등 지원이 풍부하다는 걸 알게 돼 목표를 우리 학과로 잡게 됐답니다.
Q. 실기전형으로 지원했을 때 특별한 지원 전략이 있었나요?
학교별 작년과 재작년의 정시 성적 백분율 평균을 내어 저의 수능 백분율 성적을 꼼꼼히 비교했어요. 상향, 안정, 하향의 범위를 정한 뒤 그 안에서 세 학교를 정했고요. 학교마다 다른 반영비율을 계산하는 것은 필수였죠.
애초부터 수시와 정시,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으려다 모두 놓칠 것 같다는 불안감에 정시 준비를 확실히 하자는 생각이 있었어요. 그래서 다른 학생들이 수시 모집에 집중할 때 저는 정시만 바라보고 멘탈 관리에 신경 썼죠. 제 할 일에 더 집중하려고 했고요. 그 덕에 수능 성적이 만족스럽게 나와 목표 대학에 합격할 수 있었답니다.
Q. 고등학생과는 다른 대학생만의 장점이 있다면요?
솔직히 말씀드리면, 저는 대학에서 동기들과 그다지 친하게 지내지 못할 줄 알았어요.(웃음) ‘고등학교 친구가 진짜 친구다’라는 말을 너무 많이 들어서 편견이 생겼었거든요. 그런데 제 예상과는 다르게 입학 뒤 첫 수업부터 동기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냈고, 함께 좋은 성적을 받으려고 노력한 것이 행복한 추억으로 남았습니다.
성신여대 신입생이 된다면 수정캠퍼스 중앙도서관 7층 크리스탈 라운지에 꼭 가보세요. 전망이 좋아서 과제나 작업 중 기분 전환이 될 거예요. 성신관과 수정관 중앙 잔디밭에서는 자유롭게 돗자리를 빌려줘서 캠퍼스 피크닉도 즐길 수 있죠. 무엇을 꿈꾸든 길을 열어주는 성신여대에서 즐거운 대학생활을 누리길 바랍니다.
전정아 MODU매거진 기자 jeonga718@modu1318.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