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학부모단체연합 등 60여 개 단체가 9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교육부 앞에서 청소년 방역 패스 철회 등을 요구하는 항의 집회를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건강한 청소년의 경우에도 코로나19 감염으로 위중증과 후유증이 늘어나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청소년 본인과 가족, 지역사회 보호를 위해 청소년의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필수적이라며 백신 접종을 거듭 강조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9일 소아·청소년 코로나19 예방접종 관련 특집 브리핑에서 “장기적인 관점으로 접종하지 않았을 때 청소년 감염률이 최대 40%까지 늘어날 수 있다”고 밝혔다. 정 청장은 “이스라엘에서도 성인의 2차 백신 접종을 마무리하던 지난 8월께 20살 이하 소아·청소년이 전체 확진자의 40%까지 높아진 바가 있다”며 “우리도 안심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정 청장은 이날 “건강한 청소년도 코로나19에 감염될 경우 17%가 입원치료를 받으며 이 가운데 위중증 환자도 11명 발생했다”며 “모두 미접종자였다”고 말했다. 이어 “드물지만 다기관염증증후군 등 (코로나19 감염 이후) 합병증 발생 위험이 있으며 현재까지 총 11명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기저질환이 있는 소아·청소년들은 현재 속도로 감염자 숫자가 늘어나면 사망 등 심각한 피해가 초래될 수 있다. 이날 중앙방역대책본부는 국내 10살 미만 코로나19 확진자 가운데 세 번째 사망자가 나왔다고 밝혔다. 전날 3살 미만의 영아 확진자 가운데 1명이 치료 중에 사망했으며, 기저질환 여부를 확인 중이다. 첫 사망자는 지난달 28일에 나왔으며, 이달 6일 발생한 두 번째 사망자는 기저질환이 있었고 입원 치료 중 사망했다.
청소년 확진자가 발생했을 때 감염경로의 50% 가량은 소규모 지인·가족 간 접촉이었다. 정 청장은 “미접종 성인이 소아에게 옮기거나 혹은 소아가 다중이용시설에서 감염돼 가정으로 전파하는 양방향이 다 일어나고 있다”며 “청소년 접종으로 본인도 보호를 받고 가족 전파, 학교 전파도 같이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 청장은 특히 “소아·청소년들의 감염이 집에서 (아이들을) 돌보는 60대 이상 노인에게 전파되는 사례들도 확인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날 정 청장은 “소아와 청소년 접종은 현재 유행의 급증세를 꺾는 데 당연히 도움이 된다. 무증상과 경증이 많고 활동이 활발하기에 지역사회의 전파 감염원 역할을 분명히 할 수 있다”며 “개인의 건강보호도 있지만 공동체 안전 유지를 위해서도 청소년 미접종자 규모를 줄이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다만 현재 학부모들의 불만이 나오고 있는 청소년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에 대해서는 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정 청장은 “2월1일부터 학원 등에 적용한다는 발표에 학부모들의 우려와 지적을 잘 알고 있다”며 “현장 학부모님들과 학생, 관련 단체의 의견을 수렴해 제도를 시행할 때 개선할 부분들을 반영해 불편을 줄이도록 관계부처와 협의하며 시행을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방역당국과 각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9일 0시부터 밤 9시까지 전국 확진자는 총 5803명으로 종전 최다였던 지난 7일의 5704명보다 99명 많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10일 0시 기준으로 발표될 신규 확진자는 사흘 연속 7천명을 넘고, 8일 0시 기준 7174명보다 많은 역대 최다가 될 가능성이 높다. 국내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진자는 9일 0시 기준 하루 새 22명이 증가해 모두 60명으로 늘었다.
김지은 기자
quicksilv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