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인권·복지

하루 9명씩…외롭게 세상 떠났다

등록 2022-12-14 17:31수정 2022-12-14 22:45

국가 차원 첫 고독사 통계
작년에만 3378명 고독사
사망자 100명 중 1명 수준
서울의 한 쪽방촌에서 쪽방 이웃들이 무연고 사망한 쪽방 주민의 방을 정리하고 있다. 박승화 기자 eyeshoot@hani.co.kr
서울의 한 쪽방촌에서 쪽방 이웃들이 무연고 사망한 쪽방 주민의 방을 정리하고 있다. 박승화 기자 eyeshoot@hani.co.kr
지난해 발생한 사망자 100명 가운데 1명은 혼자 살다 세상을 떠난 다음 뒤늦게 발견됐다. 이러한 고독사 사망자 절반 이상은 50~60대 남성이었다.

14일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이 포함된 ‘2022년 고독사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4월 시행된 ‘고독사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고독사예방법)에 따른 것으로, 정부가 고독사 실태를 조사해 공식 통계를 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고독사예방법은 ‘가족·친척 등 주변 사람들과 단절된 채 홀로 사는 사람이 자살·병사 등으로 혼자 임종을 맞고 일정 시간이 지난 뒤 주검이 발견될 경우’를 고독사로 정의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경찰청으로부터 최근 5년(2017~2021년) 정보를 넘겨받아 고독사 발생 현황과 특징을 분석했다.

최근 5년 동안 전국에서 고독사한 사람은 모두 1만5066명이었다. 2017년 2412명→2018년 3048명→2019년 2949명→2020년 3279명→2021년 3378명으로 5년 동안 40%가 늘었다. 지난해 국내 전체 사망자는 31만7680명이므로, 100명 가운데 1명이 고독사로 숨진 셈이다. 남성 고독사 사망자는 여성의 4배 이상이었다. 50·60대 중장년층이 고독사의 50~60%를 차지했는데, 상당수가 남성이었다. 2020년과 지난해엔 50·60대 남성 사망자만 전체 사망자의 약 52%였다. 지난해 인천(1.5%), 부산(1.4%), 광주(1.4%), 서울(1.3%) 4개 지역은 전체 사망자 중 고독사 비중이 전국 평균(1.1%)에 견줘 높았다. 복지부는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사회관계망이 헐거워지면서 고독사가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통계청 자료를 보면 2021년 전체 가구 가운데 1인 가구 비중은 33.4%이다.

천호성 기자 rieux@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식사도 못 하신다”…인생의 친구 송대관 잃은 태진아 1.

“식사도 못 하신다”…인생의 친구 송대관 잃은 태진아

[속보] ‘내란 가담 의혹’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발령 2.

[속보] ‘내란 가담 의혹’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발령

송대관의 삶엔 ‘한 구절 한 고비 꺾어 넘을 때’마다 사연이 3.

송대관의 삶엔 ‘한 구절 한 고비 꺾어 넘을 때’마다 사연이

서울 체감 -19도…주말 내내 강추위 4.

서울 체감 -19도…주말 내내 강추위

박현수 경찰국장 서울청장 임명 임박…윤석열 ‘옥중 인사권’ 논란 5.

박현수 경찰국장 서울청장 임명 임박…윤석열 ‘옥중 인사권’ 논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