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조계종 화쟁위원회가 의대 정원 확대 등을 놓고 맞서고 있는 정부와 의료계 사이에서 중재 역할을 하고 싶다는 뜻을 나타냈다.
대한불교조계종 화쟁위원회는 1일 보도자료를 내 "정부와 의사협회가 의료 정책에 대한 지난 협의 과정을 통해 '모든 국민의 빠짐없는 건강과 행복 추구권' 실현이라는 헌법 가치에 동의하고 있으며, 공공의료 및 낙후지역에 대한 의료서비스 개선 등에 대해서도 뜻을 같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런데도 양측이 극한 대립과 공방에만 몰두하고 있는 원인이 상호 불신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며 "종교적 양심과 화쟁의 가치, 사회갈등 조정 경험을 바탕으로 공정한 제3자의 입장에서 당사자 간 대화와 협의 및 사회적 공감을 끌어내 당면한 문제가 원만히 해결되도록 함께하겠다"고 강조했다.
화쟁위는 정부와 의사협회에 △공감과 상호 이해에 바탕을 둔 대화 △대화와 합의를 위한 시간과 자리 마련 등을 촉구했다.
조계종 화쟁위는 지금까지 통일신라시대 원효가 갈등을 불교 방식으로 풀어냈던 화쟁을 통해 4대강 문제를 비롯해 쌍용자동차 노사 문제, 민주노총 한상균 위원장이슈 등 사회 갈등 사안에 중재를 해왔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