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5일 오후1시30분 전북 익산 원불교 중앙총부에서 출가식이 거행된다. 이 자리에서 49명의 출가자들이 원불교 성직자인 교무가 된다. 출가자 수 49명은 작년 27명에 비해 크게 늘어난 것이다. ‘출가자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라는 요즘 원불교로서는 천군만마를 얻는 셈이다.
이날 서원식을 하는 박예성(33) 예비교무는 부산 출신으로 보육원에 3년간 근무하다가 6년 전 원불교 성직자 양성기관인 영산대에 편입해 출가를 준비해왔다. 그는 “보육원에서 아이들을 돌보면서 주로 물질적인 것만 챙겨주다 보니, 좀 더 근본적인 도움을 줄 수는 없을까라는 생각을 했다”며 “마음공부와 훈련을 통해 내 마음이 보이기 시작하면서, 마음의 힘을 기르는 것을 돕는 삶을 살고 싶어 출가를 결심했다”고 말했다.
서울 안암교당 김제원 교무는 청년들 마음공부를 통해 최근 13년간 안암교당에서만 21명의 출가자를 배출했다. 이번 출가자 가운데 5명이 안암교당 출신이다. 김 교무는 “일생을 던지는 것인데 고생만 하고 보람과 가치가 없다면 출가할 사람이 누가 있겠느냐”며 “개인의 재산과 이익이 주는 기쁨보다 더 큰 재미와 기쁨을 위해 큰 삶, 큰 역할, 큰 생활을 시작하는 것”이라고 새 출가자들을 축하했다.
출가자 감소 추세는 모든 종교에서 심각하다. 조계종의 경우 1991년 연 500명이던 출가자가 올해 151명으로 급감하자 최근 출가자 모집 광고까지 냈다. 가톨릭 사제가 되기 위한 과정인 전국 가톨릭대 신학과도 높은 경쟁률은 옛이야기가 되었다. 이제는 대부분의 신학과가 미달 사태를 빚어 고민이 커지고 있다. 원불교도 원광대와 영산대의 교무(성직자) 과정 지원자가 감소하기는 마찬가지다. 원불교 교무의 경우 독신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남자와 달리 여자는 독신성직자인 ‘정녀’로서 한길밖에 없다. 이 때문에 지금까지 원불교의 ‘주력’으로 꼽혔던 여자 교무 지원자가 더 감소했다. 이번에도 ‘정녀’인 여자 출가자는 10명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여자 교무들도 남자 교무들처럼 독신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도가 곧 개선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여성 교무 지원자들도 머지않아 자신이 독신으로 살아갈지 결혼을 할지 선택할 수 있는 날이 올 수 있는 셈이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사진 원불교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