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짬】 엘살바도르 첫 추기경 그레고리오 로사 차베스
영화 <로메로>로 민주화를 열망하는 세계인들의 가슴을 뜨겁게 달궜던 엘살바도르 로메로 대주교의 ‘절친’이 방한했다. 로메로는 1980년 3월24일 미사 도중 군부독재의 사주를 받은 것으로 추정되는 4명의 괴한으로부터 총격을 받아 순교했다. 바로 그 산살바도르교구의 지도자 그레고리오 로사 차베스(75·사진) 추기경이다.
사춘기 때 로메로 대주교를 만나 암살의 순간까지 군사독재에 함께 항거한 그는 로메로의 일기장에 38번이나 등장할 만큼 가까운 사이였다. 그는 로메로를 ‘나의 친구’라고 표현했다.
천주교 서울대교구 민족화해위원회가 지난 4일 서울 가톨릭대 성신교정에서 연 ‘2017 한반도평화나눔포럼―정의와 평화 한반도의 길’에 남미의 다른 종교 지도자들과 함께 참가한 그를 7일 서울 명동 서울대교구청에서 만났다.
영화 ‘로메로’ 실존인물 대주교의 절친
“한국은 많은 순교성인의 나라” 감격
한반도평화나눔포럼 참석차 첫 방한 ‘12년 내전 종식’ 결정적 중재자 노릇
“남북 서둘지 말고 끈질긴 대화로 ‘평화’를” 올해 엘살바도르 사상 첫 추기경으로 임명된 그는 “엘살바도로에선 로메로가 최초의 복자(성인으로 시성되기 전 단계)인데, 한국은 수많은 순교 성인이 난 땅”이라며 먼저 ‘순교자의 나라’에 온 감격부터 표현했다. 이어 그는 로메로가 주교 임명 때 피정에서도, 암살당한 날 강론에서도 ‘겨자씨’ 비유로 순교를 자처했다고 전했다. ‘저는 죽을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저는 암살자를 용서합니다. 저를 죽인다면 저는 엘살바도르인들 속에서 부활하겠습니다.’ 차베스 추기경은 엘살바도르의 12년 내전 종식에 결정적 중재자 노릇을 했다. 그는 로메로 대주교의 순교 이후 1984~89년 5차례에 걸쳐 군부정권과 반군 사이의 협상을 주재했다. 이러한 노력 끝에 양쪽은 92년 마침내 평화협정에 서명했다. 이런 이력에 근거해 프란치스코 교황이 차베스 추기경에게 한반도 문제의 중재 역할을 맡겼다는 외신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마침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의장인 김희중 대주교가 문재인 대통령의 특사로 교황청을 방문해 교황에게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한 직후였다. 그는 이 외신 보도와 관련해 “저처럼 연약한 추기경이 어떻게 그런 역할을 할 수 있겠느냐”고 웃으며 공식 부인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자신의 경험을 세심하게 소개했다. “우리는 중재에 앞서 먼저 3가지를 스스로에게 물었다. ‘첫째, 그리스도적 평화를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 둘째, 인간의 권리를 어떻게 찾을 것인가. 셋째, 어떻게 중재자의 역할을 할 것이냐’였다. 이를 어떻게 실현할지 주교좌성당에서 강론 때마다 가르쳤다. 첫째를 위해선 인내와 대화 교육이 필요했다. 둘째는 군부독재에 의해 짓밟히고 있는 인권을 되찾기 위해 먼저 예언자적 선포를 해야 했다. 그 선언은 사막에 서는 용기가 필요했다. 우리가 막상 중재에 나섰을 때는 반군과 한자리에 앉는 것 자체가 헌법 위반이었다.” 그는 그때 대주교가 ‘법이란 인간을 위해 존재하기에 인간에게 봉사해야 한다’며 헌법 개정을 이끌어내 협상에 나서도록 했다고 덧붙였다. 그 이후에도 평화는 여전히 산 넘어 산이었다고 했다. “군부와 반군만 있는 게 아니었다. 그들과 미국과 러시아 그 한가운데 엘살바도르 국민들이 있었다. 무기는 외국에서 들여왔지만 그 무기로 인해 죽는 사람은 결국 엘살바도르 국민이었다.” 그는 “이번에 판문점을 방문해서도 그런 똑같은 상황을 목도했다”며 “여기서도 전쟁이 나면 죽는 사람은 한국인들”이라고 안타까워했다. 그는 이어 “그런 끔찍한 일을 당하지 않으려면 어떻게든 남과 북이 대화의 자리를 마련해야 하고, 평화를 향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평화는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끈질기게 만들어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곳 성당에서 전례를 하며 한국 장인들이 한땀 한땀 수놓은 화려한 제의를 받아 입었다. 그런 옷도 장인의 영감과 노력, 창의력이 함께했기에 가능한 것이다. 그런데 살기 위한 평화를 만드는 데 얼마만한 인내와 노력이 필요하겠는가. 하지만 한국인들은 무엇이든 너무 ‘빨리빨리’만 하려 든다.” 차베스 추기경은 “프란치스코 교황의 말씀대로, 우선 멈추는 것을 배워 침묵을 내면화하고, 하느님을 향해 내면을 열고 묵상한 뒤 활동에 나서야 한다”고 권했다. 그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직후 멕시코와의 국경에 장벽을 설치하기로 했을 때 교황의 말씀으로 인터뷰를 마무리지었다. “우리는 벽이 아니라 다리를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한국에는 그런 다리를 만들어주기 위해 순교한 로메로 주교의 선배들이 많다. 한국인들이 그런 순교 정신을 따른다면 멋진 미래를 만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사진 서울대교구 제공
엘살바도르 첫 추기경인 그레고리오 로사 차베스(왼쪽)는 영화 <로메로>의 실존 인물인 오스카 로메로(오른쪽 액자) 대주교의 암살 순간까지 함께 했던, 가장 가까웠던 ‘절친’이라고 자신을 소개했다.
“한국은 많은 순교성인의 나라” 감격
한반도평화나눔포럼 참석차 첫 방한 ‘12년 내전 종식’ 결정적 중재자 노릇
“남북 서둘지 말고 끈질긴 대화로 ‘평화’를” 올해 엘살바도르 사상 첫 추기경으로 임명된 그는 “엘살바도로에선 로메로가 최초의 복자(성인으로 시성되기 전 단계)인데, 한국은 수많은 순교 성인이 난 땅”이라며 먼저 ‘순교자의 나라’에 온 감격부터 표현했다. 이어 그는 로메로가 주교 임명 때 피정에서도, 암살당한 날 강론에서도 ‘겨자씨’ 비유로 순교를 자처했다고 전했다. ‘저는 죽을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저는 암살자를 용서합니다. 저를 죽인다면 저는 엘살바도르인들 속에서 부활하겠습니다.’ 차베스 추기경은 엘살바도르의 12년 내전 종식에 결정적 중재자 노릇을 했다. 그는 로메로 대주교의 순교 이후 1984~89년 5차례에 걸쳐 군부정권과 반군 사이의 협상을 주재했다. 이러한 노력 끝에 양쪽은 92년 마침내 평화협정에 서명했다. 이런 이력에 근거해 프란치스코 교황이 차베스 추기경에게 한반도 문제의 중재 역할을 맡겼다는 외신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마침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의장인 김희중 대주교가 문재인 대통령의 특사로 교황청을 방문해 교황에게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한 직후였다. 그는 이 외신 보도와 관련해 “저처럼 연약한 추기경이 어떻게 그런 역할을 할 수 있겠느냐”고 웃으며 공식 부인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자신의 경험을 세심하게 소개했다. “우리는 중재에 앞서 먼저 3가지를 스스로에게 물었다. ‘첫째, 그리스도적 평화를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 둘째, 인간의 권리를 어떻게 찾을 것인가. 셋째, 어떻게 중재자의 역할을 할 것이냐’였다. 이를 어떻게 실현할지 주교좌성당에서 강론 때마다 가르쳤다. 첫째를 위해선 인내와 대화 교육이 필요했다. 둘째는 군부독재에 의해 짓밟히고 있는 인권을 되찾기 위해 먼저 예언자적 선포를 해야 했다. 그 선언은 사막에 서는 용기가 필요했다. 우리가 막상 중재에 나섰을 때는 반군과 한자리에 앉는 것 자체가 헌법 위반이었다.” 그는 그때 대주교가 ‘법이란 인간을 위해 존재하기에 인간에게 봉사해야 한다’며 헌법 개정을 이끌어내 협상에 나서도록 했다고 덧붙였다. 그 이후에도 평화는 여전히 산 넘어 산이었다고 했다. “군부와 반군만 있는 게 아니었다. 그들과 미국과 러시아 그 한가운데 엘살바도르 국민들이 있었다. 무기는 외국에서 들여왔지만 그 무기로 인해 죽는 사람은 결국 엘살바도르 국민이었다.” 그는 “이번에 판문점을 방문해서도 그런 똑같은 상황을 목도했다”며 “여기서도 전쟁이 나면 죽는 사람은 한국인들”이라고 안타까워했다. 그는 이어 “그런 끔찍한 일을 당하지 않으려면 어떻게든 남과 북이 대화의 자리를 마련해야 하고, 평화를 향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평화는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끈질기게 만들어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곳 성당에서 전례를 하며 한국 장인들이 한땀 한땀 수놓은 화려한 제의를 받아 입었다. 그런 옷도 장인의 영감과 노력, 창의력이 함께했기에 가능한 것이다. 그런데 살기 위한 평화를 만드는 데 얼마만한 인내와 노력이 필요하겠는가. 하지만 한국인들은 무엇이든 너무 ‘빨리빨리’만 하려 든다.” 차베스 추기경은 “프란치스코 교황의 말씀대로, 우선 멈추는 것을 배워 침묵을 내면화하고, 하느님을 향해 내면을 열고 묵상한 뒤 활동에 나서야 한다”고 권했다. 그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직후 멕시코와의 국경에 장벽을 설치하기로 했을 때 교황의 말씀으로 인터뷰를 마무리지었다. “우리는 벽이 아니라 다리를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한국에는 그런 다리를 만들어주기 위해 순교한 로메로 주교의 선배들이 많다. 한국인들이 그런 순교 정신을 따른다면 멋진 미래를 만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사진 서울대교구 제공
연재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