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틴 루터가 11개월 동안 머물렀던 아이제나흐(독일)의 바르트부르크성. 이 성에는 루터의 방이 있는데, 벽에 마귀 형상이 있다.
이근복 목사의 ‘종교개혁 현장 순례’
크리스챤아카데미 이근복 원장이 지난 1월18일부터 10일간 종교개혁의 현장이었던 유럽을 답사하고 글을 보냈다. 종교개혁 500주년(2017년)을 앞둔 시점에서 유럽 교회와 사회를 혁명적으로 바꾼 종교개혁의 정신과 전개 과정이 교회와 사회의 변화를 갈망하는 이들에게 깊은 영감을 줄 수 있길 바란다고 했다.
얀 후스(1372~1415)는 체코의 신학자로 로마 가톨릭교회 지도자들의 부패를 비판하다 화형을 당했다. 그가 처형당한 콘스탄츠(독일)를 방문한 날의 아침은 쌀쌀하였다. 마을 한가운데 있는 처형장에는 누군가 꽃을 갖다 놓은 흔적이 있는 작은 검은 바위 한 개(후스의 돌)가 놓여 있을 뿐이었다. 단지 후스의 탄생일과 사망일이 적힌 그 검은 돌이 큰 울림을 주었다.
1415년 7월6일, 후스는 화형당할 때 이렇게 예언했다고 한다. “나는 한 마리 거위 구이가 되지만 100년 후에는 백조로 부활할 것이다!” 정말로 약 100년 뒤인 1519년 마르틴 루터는 하이델베르크 논쟁에서 “후스가 옳았다!”고 외쳤다고 하니 그가 의연하게 외친 예언은 그대로 이뤄졌다.
후스-루터-칼뱅, 500년 전 목숨 건
교회와 사회 변혁 정신 생생 처형장 검은 바위 ‘후스의 돌’ 앞
지금도 추모의 발길 흔적 페스트 창궐로 물품 태우던 곳에서
루터가 파문 교서 불태워
부패한 종교, 페스트와 같은 존재로 칼뱅 묘는 공동묘지에 무덤번호만
하나님께만 영광 돌리려는 표지 사형선고 내린 건물이 호텔로
후스는 모국어인 체코어로 설교하고 찬송가를 만들어 보급하고 신학 사상을 책으로 저술하였다. 설교를 금지당하고 추방당하여 유배생활을 했다. 화체설과 교황 무오설을 부정하고 면죄부 판매의 부당성을 알렸던 까닭에 결국 사형선고를 받았다.
그에게 사형선고를 내린 콘스탄츠공의회가 열렸던 보덴 호숫가 건물은 치욕스런 역사를 묻어버리려는 듯 호텔로 쓰이고 있었다. .
아이제나흐(독일)에는 루터가 1521년 5월부터 11개월 동안 머물렀던 바르트부르크성이 있다. 루터의 방은 2~3평 남짓한 작은 방으로, 그가 번역한 성서가 놓여 있는 책상과 의자, 그리고 벽난로밖에 없었다. 유심히 보니 작은 마귀 형상이 벽에 걸려 있었다. 프리드리히 선제후가 피신시킨 성의 이 작은 방에서 루터는 “내가 정말 옳은 것일까?”라고 자문하며 많이 번민하고 갈등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마귀도 나타났다고 한다. 루터가 자기를 괴롭히는 마귀에게 잉크병을 던져 그 잉크 자국이 남아 있다는 말도 있다는데 흔적은 볼 수 없었다. 대신 그 자리에 마귀의 형상을 걸었나 보다.
두세 평 단출한 방에 마귀상이
고뇌하는 중에 루터가 번역한 독일어 성서는, 당시 신부들이 독점한 라틴어 성서를 그저 바라보기만 하였던 평신도들이 스스로 성서를 읽고 하나님의 뜻을 알 수 있게 했고, 백성들이 문맹을 깨치도록 만들어 종교개혁운동에서 결정적 역할을 했다.
어느 날 루터는 부모님을 방문하고 돌아오는 길에 벼락을 만나 내면에 숨어 있던 공포와 불안을 경험하게 된다. 그 일로 구원에 대한 고뇌를 하게 되었고 부친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1505년 아우구스티누스 수도회에 들어갔다.
수도원 안으로 들어갈 수는 없었으나 안쪽을 응시하는 것만으로도 루터를 떠올릴 수 있었다. 엄격한 규율을 지키며 극도의 경건생활을 하고, 절제와 금욕으로 치열하게 수행하였으나 풀리지 않는 구원 문제를 안고 씨름하며 새로운 길을 모색하려고 분투했을 루터를 상상한 것은, 기념품점에 있던 루터 흉상이 너무 근엄하여서였을까?
인문주의 토대, 첫 저서가 인문학책
스위스 제네바의 종교개혁자 4인의 기념조형물에서 칼뱅은 중심인물이라는 것을 말하는 듯 약간 앞으로 조각되어 있었다. 칼뱅은 첫 저서로 인문학 책을 쓸 정도로 인문학에 조예가 깊었고 인문주의 토대에서 종교개혁운동을 펼쳤다.
‘칼뱅의 강당’은 매우 인상적이었다. 제네바의 목사들과 함께 성서공부모임을 한 곳으로 재교육 과정인 공동성서연구를 통해 실력을 향상시켰고, 더불어 개혁운동을 확장할 수 있었다. 칼뱅의 묘는 유언에 따라 공동묘지에 묻혀 무덤번호만 있다고 한다. 지금의 작은 표지판도 오로지 하나님께만 영광을 돌리려고 한 그의 고귀한 삶의 표지를 보는 것 같았다.
마지막날 이른 아침, 우리는 ‘루터의 참나무’란 유적으로 갔다. 1520년, 루터가 동료 교수들과 신학생들 앞에서 교황 레오 10세의 파문 교서를 불태운 곳이다.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300주년 기념으로 1830년에 심은 참나무가 서 있다. 여기는 페스트가 창궐했을 때 병균을 박멸하기 위해 물품들을 태우던 장소였다고 한다. 루터가 일부러 여기서 교서를 태움으로써 부패한 종교를 페스트와 같은 존재로 각인시킨 것이다.
한국 교회와 사회의 새날 열 거울
이번 여정에서 내내 마음속으로 질문한 주제가 있었다. “종교개혁 500주년이 던지는 정신과 의미를 한국 교회는 물론 우리 사회와 어떻게 공유하여 새로운 길을 열 수 있을까?” 종교영역을 넘어 근본적인 정치사회적 변혁을 가져온 500년 전의 종교개혁자들의 유산을 오늘의 우리 상황에 창의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우리의 과제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뜻과 믿음을 같이하는 이들과 더불어 기도하고 고뇌하며 풀어가야 하지 않을까? 유럽의 종교개혁운동은 루터나 칼뱅 같은 개인에 의해서가 아니라 다양한 개혁자들이 영향을 주고받고, 힘을 모으고, 함께 고난의 길에 동역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이번에 종교개혁 현장에서 반성한 것은 한국 교회 개혁을 꿈꾸는 우리가 종교개혁자들에 비추어보면 치열성이 없고, 실력이 모자라고,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하여 실패하고 있는 점이었다.
앞으로 더 많은 이들이 종교개혁 현장에서 개혁운동의 역사와 정신을 배움으로써, 함께 한국 교회와 사회의 새날을 열어나가길 간절히 소망한다.
글·사진 이근복 목사
교회와 사회 변혁 정신 생생 처형장 검은 바위 ‘후스의 돌’ 앞
지금도 추모의 발길 흔적 페스트 창궐로 물품 태우던 곳에서
루터가 파문 교서 불태워
부패한 종교, 페스트와 같은 존재로 칼뱅 묘는 공동묘지에 무덤번호만
하나님께만 영광 돌리려는 표지 사형선고 내린 건물이 호텔로
얀 후스가 화형당한 장소에 그를 기려 놓아둔 검은 바위인 ‘후스의 돌’. 그의 예언대로 그가 처형되고 100년 뒤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이 실현됐다.
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칼뱅 등 종교개혁자 4인의 기념조형물 앞에 선 이근복 목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