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체크넷 모바일 화면 갈무리. 팩트체크넷 제공
기자와 전문가뿐 아니라 시민이 참여해 이른바 ‘가짜뉴스’를 검증하는 팩트체크 오픈 플랫폼 ‘팩트체크넷’(
factchecker.or.kr)이 12일 출범했다. 팩트체크넷은 방송기자연합회와 한국기자협회, 한국피디연합회 등 언론 현업인 단체와 디지털 기술로 소통 확장에 앞장서 온 사회적협동조합 ‘빠띠’ 등 4개 단체가 함께 컨소시엄을 꾸려 설립했다.
팩트체크넷은 이날 서울 목동 방송회관에서 간담회를 열어 “최근 코로나19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 국민의 불신·불안을 조장하는 허위정보의 생산·유포가 국민 안전을 저해하고, 국민 삶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며 “올바른 정보 이용 문화 정착과 팩트체크 활성화를 위한 내부 준비를 거쳐 이번 플랫폼을 출범했다”고 밝혔다.
팩트체크넷에서 직접 팩트체킹에 나서는 주체는 전문 팩트체커와 시민 팩트체커로 나뉜다. 전문 팩트체커는 언론사 및 각 분야 전문가 중심으로 구성됐다. 팩트체크넷에 참여하는 언론사는 <한국방송(KBS)> <문화방송(MBC)> <에스비에스(SBS)> <교육방송(EBS)> 등 지상파 4사와 <와이티엔(YTN)> <엠비엔(MBN)>을 비롯해 <한겨레> <연합뉴스> <미디어오늘> <뉴스타파>, 팩트체크 온라인 전문매체 <뉴스톱> 등 11곳이며, 변호사 자문을 바탕으로 법률정보를 검증하는 ‘로체크’까지 총 12개 채널이 참여한다.
팩트체크넷의 특징은 시민과 적극 소통하고 시민이 직접 참여한다는 점이다. 2017년부터 팩트체크 교육과 시민 공모전 등을 기획·운영해 온 방송기자연합회가 허위정보에 맞서 팩트체크를 통해 정확하고 올바른 정보가 유통될 수 있도록 정부와 국회에 제안한 것이 출발점이다.
시민 팩트체커는 방송기자연합회에서 시행한 팩트체크 교육과정을 이수하거나 팩트체크 시민 공모전에서 수상하는 등 역량이 인정된 시민과 학생 가운데 자원자 33명을 선발했다. 이들은 플랫폼에 참여한 각 언론사 전문 팩트체커와 협업하게 된다. 각 채널 구성원은 함께 검증 대상을 선정하고, 검증을 위한 정보 수집 활동과 조사 뒤 토론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결과를 플랫폼에 공개하는 방식이다. 팩트체크넷에 가입한 일반 시민은 검증 주제나 대상을 제보할 수 있으며 검증이 끝난 사안에 대해 평가와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12일 서울 양천구 목동 방송회관에서 열린 ‘팩트체크넷’ 출범 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하지만, 앞서 올해에만 공적 자금이 2억6천만원 투입된 것을 두고 논란이 일었다. 지난해 정부·여당은 허위조작정보에 대한 대응책을 모색하며 민간 팩트체크센터에 방송통신발전기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지난 5일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에서 국민의 힘 의원들은 정부 지원에 따른 편향성·공정성 논란이 우려된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은 “지원은 하되 개입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지킬 것”이라며 “‘국제 팩트체킹 네트워크’(IFCN) 인증을 받으려면 자금 마련과 기관의 투명성 등 5가지 기준을 지켜야 한다. 이를 통과하면 우려가 불식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이에프시엔(IFCN) 5가지 기준은 그 외에 불편부당성과 공정성, 정보의 투명성, 방법론의 투명성, 개방적이고 정직한 정정 등이다.
팩트체크넷 역시 “정부가 팩트체크 검증 대상의 선정이나 검증 과정, 결과에 개입할 여지는 전혀 없다. 검증 대상 선정은 언론사에 소속된 기자들이 시민 팩트체커와 논의하여 결정하지만 최종적인 선정 권한과 책임은 기자에게 있다. 팩트체크의 결과물도 해당 언론사의 뉴스 콘텐츠로 생산돼 플랫폼에 하이퍼링크 형태로 제공될 예정이어서 각 언론사가 평소 수행하는 뉴스 기사 생산과 다를 바 없다”고 강조했다.
이날 출범식에서 성재호 방송기자연합회 회장은 “출발은 작지만 우리 사회 허위조작정보를 막는 협업 네트워크 구축이 목표”라며 “국민이 팩트체크의 도서관이자 팩트체크를 위한 포털로 인식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겠다. 앞으로 공인들의 발언이나 주장을 바로바로 검증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문현숙 선임기자
hyuns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