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을 이틀 앞둔 지난 4월25일 오후 광주 동구 금남로 거리에 빼곡히 내걸린 한반도기가 바람에 나부끼고 있다. 연합뉴스
남북관계가 화해의 급류를 타면서 북한 언론과 교류를 재개하려는 남한 언론의 움직임이 활발하다. 북에 대한 왜곡보도와 오보를 막기 위해서라도 정례적 만남과 언론인의 북한 현지 파견이 절실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남북 언론교류에 가장 앞장선 곳은 <연합뉴스>와 <한국방송>(KBS) 등이다. 이들은 2002년 북한의 <조선중앙통신> <조선중앙티브이> 등과 별도의 협력 계약을 맺고 콘텐츠 교류와 공동제작을 한 바 있다. 6·15공동선언실천남측위원회 언론본부 공동대표인 정일용 연합뉴스 통일언론연구소 설립 추진단장은 “김대중·노무현 정부 시절 남북 언론이 교류할 때는 정보를 직접 접하고 확인할 수 있어서 북에 대한 추측 보도나 왜곡된 기사가 적었다”며 “일단 남북 언론인들의 정례적인 만남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그는 “정부가 길을 터주고, 판을 깔아줘야 한다. 언론교류를 남북 회담의 정식 의제로 상정할 것”을 주문했다.
연합뉴스는 평양지국 설치를 위해 전사적으로 뛰고 있다. 연합뉴스는 ‘남북 기본합의서’를 체결한 1991년 12월에 평양 주재원 2명을 선제적으로 발령냈다가 남북관계가 급랭하면서 수포로 돌아간 경험이 있다. 한국방송도 평양지국 설치와 영상 교환, 공동제작 등을 위해 북과의 접촉을 서두르고 있다. 박찬욱 한국방송 남북교류협력단장은 “북쪽과 교류를 위해 옛 라인을 복구해 연락했다. ‘12일 북-미 회담 이후에 보자’는 답을 들었다”고 밝혔다. 북한이 난시청 지역이 많다 보니 위성방송인 케이티 스카이라이프의 행보도 주목을 받는다. 스카이라이프는 국내 기업들이 개성공단에 들어갈 때 남쪽 방송을 보기 위해 컨버터를 100여개 설치한 적이 있다.
현재 평양에 진출한 언론사는 미국의 <에이피>(AP) 통신, 프랑스 <아에프페>(AFP) 통신 등 모두 외신들이다. ‘한반도 정보주권’을 상실한 채 간접 경로로 뉴스를 접할 수밖에 없는 남쪽 언론으로선 평양지국이 오랜 꿈이기에 누가 가장 먼저 깃발을 꽂을지도 관심거리다. 통일부 쪽은 평양지국을 신청했다고 신고한 우리 언론사는 지금까지 두자릿수에 이른다고 전했다. 언론사 선정은 북한 몫이다.
동서독 통일 과정에서 언론인 교류 등을 통해 상대방의 이슈를 객관적으로 보도하고 자극적 표현을 자제한 독일 사례가 현재 한국 상황에 참고할 만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영욱 카이스트 과학저널리즘대학원 연구교수는 “서독 공영방송들은 동서독 문제를 다루는 시사 프로그램을 따로 만들어 정확한 이해를 도왔다. 특별히 우호적이거나 친통일적인 기사가 아니라 저널리스트로서 갈등 사안도 있는 그대로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을 가장 우선시했다”고 짚었다. 그는 이어 “서독 정부가 서독 언론인들의 동독 진출에 큰 비중을 두고 협상에 임했던 것처럼 한국 정부도 남북 언론인 교류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방송통신위원회 산하 남북방송통신교류추진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표철수 상임위원은 “북-미 정상회담이 끝나면 남북 방송·통신 교류를 위한 창구를 개설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언론진흥재단도 앞으로 기획·공동취재 지원과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설치 장소인 개성에 간이 프레스센터를 개설하는 안도 검토하고 있다.
문현숙 선임기자
hyuns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