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노조가 5일 공개한 박노황 전 사장의 감사패 내용
‘부당노동행위·편집권 침해’ 논란을 빚은 <연합뉴스> 전직 경영진이 임기 만료 직전 2500만원대 감사패와 기념품을 자신들에 ‘셀프 수여’ 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5일 전국언론노조 연합뉴스지부는 노보를 통해 “지난달 26일 박노황 전 연합뉴스 대표, 이홍기 전 전무, 심수화 전 상무, 조복래 전 상무 등 네 명이 모였다. 이들은 서로 감사패와 순금 25돈(시가 522만5000원)짜리 동전 모양의 문진(책장이나 종이가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눌러두는 물건)을 (각 1개씩) 나눠 가졌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감사패·기념품 구매 비용 2500만원이 회삿돈으로 결제됐고, 조성부 신임 사장이 지난달 28일 취임한 뒤 이 사실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노조의 말을 들어보면, 기념품·감사패는 2006년부터 ‘신임’ 경영진이 ‘전임’ 경영진에게 수여하는 관례로, 이제껏 ‘셀프 수여’는 없었다. 그런데도 지난달 말 사장 취임 직전, 직무대행을 맡던 이 전 전무가 기념품·감사패 구매를 강행했다고 노조는 지적했다.
또 이 ‘셀프 수여’ 감사패에는 수여자가 ‘임직원 일동’으로 돼 있어 구성원으로부터 빈축을 사고 있다. 그간 박 전 사장을 비롯해 기념품·감사패를 나눠 가진 임원 4명은 ‘부당노동행위·편집권 침해’ 논란을 빚었고 구성원의 거센 비판을 받았다. 특히 박 전 사장은 편집국장 시절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축소 보도 △4대강 사업 ‘찬미’ 특집 기사 등 불공정 보도를 지휘해 지난 2012년 연합뉴스 103일 파업을 초래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또 박 전 사장은 재임 시절 회사에 비판적인 고참 기자들을 지방으로 발령 내 ‘보복성 인사’라는 비판을 받았고, 그가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성매매 의혹 보도 축소에 관여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박 전 사장은 임기를 약 한 달 남긴 지난 2월 자진 사퇴했다.
이와 관련해 <한겨레>는 ‘셀프 수여’ 논란이 제기된 전직 임원 4명에게 해명요청을 했다. 박 전 사장은 “할 말이 없다"고 했고, 심 전 상무도 “연락을 받기 어렵다”고 했다. 이 전 전무는 “회사 규정에 따른 것”이라고 주장했고, 조 전 상무는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박준용 기자
juney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