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를 비롯한 5개 관계부처가 19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외주제작 시장 불공정 관행 개선 회의’를 열었다. 방송통신위원회 제공
정부가 상품권으로 임금을 지급하는 방송계 외주제작 불공정 관행의 실태를 매년 점검하기로 했다.
19일 오후 방송통신위원회·문화체육관광부·고용노동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공정거래위원회 등 5개 부처는 ‘외주제작 시장 불공정 관행 개선 회의’를 열고, 매년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외주제작시장 실태 점검에 상품권 임금 지급 문제를 포함하기로 협의했다. 또 각 부처의 실태조사와 현장점검 등이 이뤄질 때 관계부처가 협조하기로 했다.
이날 <한국방송>(KBS)·<문화방송>(MBC)·<에스비에스>(SBS)·<교육방송>(EBS)·<티브이조선>(TV조선)·<제이티비시>(JTBC)·<채널에이>(채널A), <엠비엔>(MBN), <시제이이앤앰>(CJ E&M)등 9개 방송사업자 대표도 회의에 참석해 정부가 지난달 발표한 ‘외주제작시장 불공정 관행 개선 종합대책’ 시행에 협조하고, △상품권 임금 지급△촬영장 안전사고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자체 개선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고삼석 방통위 상임위원은 “5개 부처가 합동으로 발표한 ‘외주제작시장 불공정 관행 개선 종합대책’이 안착하기 위해서는 방송사·제작사·정부가 긴밀하게 협조해야 할 것”이라면서 “방송사가 상품권 임금 지급, 안전사고 등의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해달라”고 했다.
앞서 <한겨레21>은 제1195호 표지 이야기(▶관련기사:
열심히 일한 당신 상품권으로 받아라?)에서 에스비에스를 비롯한 주요 방송사들이 외주제작·비정규직 인력들에 상품권으로 임금을 지급했다고 보도했다.
박준용 기자
juney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