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직사태 3000일 넘긴 YTN노조
8년 투쟁 기록한 포토에세이집 발간
MBC노조 천막농성하며 방송 정상화 촉구
여당 반대로 언론장악방지법 논의 새해로
8년 투쟁 기록한 포토에세이집 발간
MBC노조 천막농성하며 방송 정상화 촉구
여당 반대로 언론장악방지법 논의 새해로
해직언론인 복귀해법 또 해넘겨
이명박 정부 이후 공정 보도와 언론 자유 등을 외치다 쫓겨난 해직 언론인들의 복직 문제가 해법을 찾지 못한 채 또 다시 해를 넘기게 되었다. ‘여소야대’ 지형의 20대 국회가 개원하면서 야3당은 이른바 ‘언론장악 방지법’인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과 함께 해직 언론인 문제를 시급한 과제로 꼽았으나 실효성있는 답을 내놓지 못했다. 정부여당이 노사 자율의 문제로 선을 긋고 있는 가운데 언론들은 여전히 정권 눈치를 보며 ‘해고 무효’ 판결을 묵살하거나 복귀돼도 재징계로 낙인찍기하는 실정이다.
‘이명박근혜’ 정부의 해직언론인은 <와이티엔>(YTN)과 <문화방송>(MBC) 등에서 모두 19명인데 임시, 편법 복직을 포함해도 절반 넘게 아직 일터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해직기간 8년 2개월, 3000일을 넘긴 와이티엔의 노종면 해직기자는 “새해를 맞을 때마다 사람이다 보니 혹시나 하는 기대를 하게 된다. 특히 요즘 같은 분위기에선 뭔가 달라지려나 희망도 들지만 동시에 너무 기대하면 안 된다는 생각도 한다”며 긴 시간 희망고문에 지친 모습을 드러냈다. 2008년 노조위원장이었던 그는 이명박 정권 출범 뒤 청와대에서 내리꽂은 낙하산 사장의 출근저지 투쟁을 하다 기자 5명과 함께 그해 10월 해고됐다. 6명 모두 해고 무효라는 1심과 달리 대법에선 그를 포함한 3명(조승호·현덕수)은 정당하다는 판정을 내려 이들은 여전히 회사 밖에서 삭풍을 맞고 있다. 조승호씨는 뉴스큐레이션 앱인 ‘일파만파’에서 노종면씨와 함께 일하고 있으며 현덕수씨는 <뉴스타파>에서 활동하고 있다. 최근 와이티엔 노조는 2008년 단식농성부터 올해 촛불집회까지 8년간 투쟁의 역사를 기록한 포토에세이집 <삼천일>을 내놓았다.
문화방송은 2012년 김재철 사장 체제의 불공정 방송에 저항해 170여일간 장기 파업 이후 해고자가 모두 10명인데 이근행 피디와 정대균 기자는 재입사 형식으로 호봉을 낮춰 불이익 복직발령을 받았고, 이상호 기자와 권성민 피디는 대법원에서 승소해 복직됐으나 이 기자는 동일 사안으로 또 다시 정직 6개월 징계 등을 받는 수난 끝에 <고발뉴스>로 옮겨갔다. 나머지 6명은 1, 2심 승소 뒤 대법원의 판단을 기다리고 있다. 해직 1760여일로 이 방송에서 해고 기간이 가장 긴 이용마씨는 암투병중이다. 강지웅·정영하씨는 노조 집행부에서 상근으로 일하고 있다. 박성제씨는 최근 <뉴스타파>에 합류해 새 프로그램인 토크쇼 <뉴스포차>를 진행중이다. 이 방송의 기자협회장이었던 박성호씨는 공영방송 정상화 등의 피케팅에 나서며 노조의 천막농성을 지원하고 있다. <뉴스타파>에서 일하는 최승호 피디는 문화방송 상황을 크게 우려하며 정치권의 결단을 촉구했다. “문화방송 뉴스 시청률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현 경영진은 유기체로서의 문화방송을 끝장내고 있다. 지금은 해직자들의 복직보다 국민의 자산인 공영방송을 살리기 위한 지배구조 개선법안 통과가 절실하다.”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법안은 정부여당에 쏠린 이사회 구도를 여야 7대 6으로 바꾸는 내용 등을 뼈대로 하고 있으나 새누리당 반대로 논의가 새해로 넘어갔다.
사주인 조용기 목사 일가의 비리 의혹을 제기했다는 이유로 2011년 10월 해고된 조상운 전 <국민일보> 노조위원장은 ‘조용기 일가 퇴진’과 ‘편집권 독립’을 요구하며 장기 파업을 이끌었다. 그는 지난 10월 대법원의 해고 무효 판결을 받았으나 회사에선 아직까지 연락이 없는 상태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이사장을 지낸 정수장학회의 비판 기사를 실었다는 이유로 2012년 해고당한 이정호 전 <부산일보> 편집국장은 현재 독자서비스국에서 임시로 일하고 있다. 1, 2심에서 승소 뒤 사원신분을 유지해달라는 지위보전 가처분이 받아들여진 것이다. 그는 “언론개혁이 많이 거론되고 있는데 제도 문제도 있지만 사람의 문제도 크다”며 언론의 공공성 훼손과 부당해고가 더는 일어나지 않도록 언론 자유가 안착되기를 희망했다.
정권의 나팔수로 전락해 방송을 망치고 해직자 문제를 장기화시키고 있는 부역 언론인을 뿌리뽑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언론학자 김춘효씨는 언론 부역자 청산을 위한 진상규명위원회 설치와 피해 언론인 보상 및 명예회복을 담은 특별법을 제안하고 있다. 박진수 와이티엔 노조 위원장도 “언론 부역자 청산을 하지 않으면 다시 최순실 사태를 겪지 않는다고 장담하지 못한다. 언론 부역 문제는 반드시 척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현숙 선임기자 hyuns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