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학자 모임인 미디어공공성포럼 이어 174명 청문회 실시를
언론학자들이 언론의 자유를 침해하는 정치권력에 맞서 진상규명과 사과를 요구하는 목소리를 높였다.
강상현 연세대 교수 등 언론학자 174명은 <한국방송>(KBS)에 대한 청와대의 일상적인 언론통제에 대해 진상규명과 청문회 실시를 촉구하는 성명을 14일 발표했다.
‘공영방송의 독립과 언론자유를 요구하는 언론학자들의 입장’이라는 제목으로 성명을 발표한 이들은 세월호 참사보도 과정에서 이정현 전 청와대 홍보수석이 김시곤 전 한국방송 보도국장에게 전화걸어 보도 내용에 불만을 토로하며 보도 방향을 제시한 녹음 파일이 공개된 것과 관련해 “군사독재 정권 시절에나 이뤄지던 언론통제가 현실로 나타났다”며 “공영방송에 구체적인 개입 시도뿐 아니라 이를 ‘통상적인’ 것으로 바라보는 청와대의 인식에 중대한 문제가 있다”고 짚었다.
이들은 이어 “언론보도는 언론 종사자의 자유와 책임에 근거하여 수행되어야 한다. 언론보도 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시도는 기본적으로 언론자유를 침해하는 행위”라며 “보도과정에서 이견이 있다면 취재기자에게 충분한 자료와 근거를 제공하는 데 그쳐야 하고, 보도결과에 문제가 있다면 그에 합당한 공식적 절차를 밟으면 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언론학자들은 “학문적 자유와 양심을 걸고 지배구조와 인사권을 매개로 공영방송을 정권의 도구로 전락시키고 있는 작금의 현실을 묵과하지 않을 것”이라며 △공영방송 통제에 대한 정부의 사과와 관련자 문책 △한국방송 보도통제 진상규명 청문회 즉각 실시 △방송의 자유와 독립을 위한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혁 조속 시행 등을 요구했다.
이에 앞서 13일 언론학자들의 모임인 ‘미디어공공성포럼’도 ‘박근혜 정권의 방송 장악 진상을 규명하고 방송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보장하라’는 이름의 성명을 내어 “정권이 공영방송 한국방송의 보도는 물론 인사에까지도 일일이 개입해 왔음이 만천하에 폭로되었다. 특정 기사를 빼달라거나 새로 보도해달라고 압력을 행사하는 일을 청와대 홍보수석의 ‘통상적 업무’라니 그저 그 뻔뻔스러움에 할 말을 잃을 지경”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권력의 방송 독립성 침해는 일상적으로 이루어져 왔을 것이라 짐작한다”며 정권의 방송 통제가 한국방송에만 국한되지 않았을 것으로 의심했다. 공공성포럼은 “이번 폭로 사건을 계기로 한국방송뿐 아니라 우리나라 공영방송 전반에 대한 권력의 외압과 통제에 대한 진상 규명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정권의 방송 장악 진상을 낱낱이 규명하는 청문회 개최, 공영방송의 지배구조 민주적 개선, 방송의 독립성과 제작 자율성 법적 보장, 해직 언론인 원직 복귀 등을 촉구했다.
문현숙 선임기자 hyuns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