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한호 광주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언론인권센터 이사장 류한호 교수
“언론개혁의 여지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답이 안보인다. 권력과 자본에 편중되지 않은 양식적인 언론이 1~2% 수준으로 몰락했다.”
지난 18일 언론인권센터 7대 이사장으로 선임된 류한호(60) 광주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23일 녹록잖은 언론의 현실을 냉정하게 진단했다. 그는 1997년 대선을 앞두고 전국언론노조·한국기자협회·한국방송피디연합회 등 언론 현업단체들이 구성한 언론개혁정책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언론개혁 10대 과제를 내놓을 정도로 언론개혁에 관심이 많은 언론학자이다.
류 이사장은 “조중동 신문과 방송이 공영방송과 한목소리로 국민을 압박해 다른 매체들까지 정치적 편향을 따라가고 있다. 그들이 설정한 프레임에 나머지 언론들도 갇혀버려 여론이 극단적으로 획일화·독점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언론의 다양한 목소리가 나오지 못해 민주주의가 위협받는 엄혹한 상황에서 더 심각한 문제는 이를 돌파할 가시적 해법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는 “현재 언론과 관련해 해법이 없다. 이것이 매우 답답한 상황이다. 여당은 타협을 하지 않고 야당은 주저앉은 형국이라 실망과 좌절뿐”이라고 무기력한 현실을 짚었다.
그럼에도 그는 언론에 대한 권력의 입김을 최대한 줄이려는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제도가 먼저냐 운영이 먼저냐’ 논란에서 운영은 제도의 틀 안에서 그걸 지키려는 의지를 보이면 실효성을 갖추게 된다는 것이다. 그는 “정권이 교체된다고해도 신문·방송의 획일화된 목소리가 일거에 바뀌지는 않는다. 권력이 농단할 수 있는 기회를 그대로 두면 권력의 힘 앞에서 무기력해진다. 사람을 바꾸는 것은 정치적 결정의 문제이지만 제도를 변화시키는 것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상당 부분 진척시킬 수 있다”며 희망의 메시지를 전했다.
언론인권센터는 서울시 공무원 유우성씨 사건이나 나주 어린이 성폭행 사건 등 언론에 의해 인권 침해를 당한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상담과 법률 지원을 하는 언론운동단체이다. 국민의 알권리 보장을 위한 정보공개운동도 활발히 벌이고 있지만 보수 정권 들어 활동에 제약을 많이 받아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는 “과거에는 시민운동의 환경이 비교적 괜찮았는데 최근 8년 동안 매우 열악해졌다. 회원들의 회비나 후원금에 의존하는 예산 규모가 10년 전과 견줘 절반으로 줄어 미디어교육 등을 자주 하기가 어렵다”며 “하지만 시민에게 언론에 대한 인권 의식을 강화하는 방법을 최대한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문현숙 선임기자 hyuns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