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후광고보다 기본단가 높아
TF팀 꾸려 “차별규제” 여론전
시민단체 “시청권 침해” 반대
TF팀 꾸려 “차별규제” 여론전
시민단체 “시청권 침해” 반대
첨예한 대립 속에 수면 밑으로 들어갔던 지상파 방송의 ‘중간광고’ 이슈가 올해 지상파 방송사들의 핵심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국회에 계류중인 <한국방송>(KBS) 수신료 인상안이 물 건너갈 것으로 관측되는 가운데 지상파 3사는 최근 중간광고 요구를 위한 티에프(TF)팀까지 구성해 적극적인 자구책에 나섰다.
한국언론학회 주최로 12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2016년 방송산업 전망과 방송정책의 과제’라는 주제의 세미나에서 이종관 미디어미래연구소 정책연구실장은 지상파 방송 부문의 재원 관련 이슈에 대해 “케이비에스 수신료를 현실화하는 시도가 반복되고 있으나 19대 국회에서도 통과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라며 “지상파 쪽에서는 콘텐츠 제작 재원 확보를 위해 중간광고가 수반된 총량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고 발표했다.
지상파 방송사들이 중간광고에 목을 매는 이유는 프로그램 시작 전후에 하는 광고보다 기본 단가가 높기 때문이다. 광고업계에 따르면 케이블방송 <티브이엔>에서 화제를 모았던 ‘응답하라 1988’의 중간광고는 1회 패키지가 4억5000만원까지 치솟았던 반면 <문화방송>(MBC)의 ‘무한도전’은 1억원에 그쳐 큰 차이가 난다. 지상파 방송사들은 그동안 케이블·종합편성채널 등과 달리 지상파만 중간광고를 금지하는 것은 비대칭 차별 규제라며 중간광고 허용을 요구해왔다.
이날 세미나에 패널로 참여한 탁재택 한국방송 방송정책 전문위원은 “지상파 점유율은 하락하고 광고수입은 줄어들고 있는데 수신료는 35년째 동결 상태다. 정부가 추진하는 광고 금지품목 완화보다 중간광고 도입을 전향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며 “지상파 재원의 위기는 콘텐츠의 위기다. 지상파의 중간광고 전면 도입은 어려울 수 있으니 프로그램별로 부분 허용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지상파 방송들의 콘텐츠 투자는 2011년을 기점으로 티브이엔 등 방송채널사용사업자(피피)들에게 밀리고 있다. 홍종윤 서울대 아이시티사회정책연구센터 선임연구원은 “2010년부터 2014년까지 5년간 방송사업매출액 대비 콘텐츠 재투자 비율은 지상파 3사가 28%, 피피는 65% 수준”이라고 밝혔다. 지상파의 재원 부족보다는 프로그램에 대한 인색한 투자가 보여지는 대목이다.
언론시민단체들은 보편적 서비스인 지상파 방송의 중간광고는 시청권을 침해한다며 반대하고 있다. 중간광고의 높은 단가가 시청률만 좇는 프로그램의 상업화로 이어질 거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정부는 지상파 방송의 중간광고 허용을 당장 검토하고 있지는 않다. 이종관 실장도 이날 지상파 쪽에 전략적 유연성을 주문했다. 그는 “지상파 방송에 중간광고를 풀어주면 일시적으로 광고수입이 올라갈 것이나 탈티브이 추세에서 장기적으론 빠질 전망이다. 모바일 등 디지털로 이동하는 시장에 얼마나 유연하게 대응하느냐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문현숙 선임기자 hyuns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